[기계신문]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24년 4/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 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 EBSI는 103.4로 3분기 연속 100을 상회, 올해 말까지 수출 호조의 긍정적 흐름이 유지될 전망이다.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는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기업의 전망을 조사 및 분석한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면 100보다 큰 값을 가진다.
조사 대상 15개 품목 중 선박(146.7), 반도체(135.2), 생활용품(114.6) 등 8개 품목의 4분기 수출 여건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환경 규제에 따른 선박 교체 수요 증가와 기존 수주 물량 인도 확대로 인해 선박(146.7) 수출 호조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반도체(135.2)는 AI 관련 반도체 매출 확대 및 기존 IT 품목 수요의 견고한 증가 영향으로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철강·비철금속(66.2)은 경쟁국 공급과잉에 의한 수출단가 하락으로 역성장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품목으로 나타났다. 석유제품은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고착화 및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 경기 부진이 우려된다.
항목별로는 10개 조사 항목 중 ‘설비가동률(120.7)’, ‘수출상품 제조원가(111.9)’ 등 6개 항목에서 수출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미 대선에 따른 통상 리스크 확대와 해상운임 상승 고착화로 ‘수입규제·통상마찰(83.1)’, ‘국제물류(90.8)’ 여건은 부정적으로 평가됐다.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16.3%)’, ‘원재료 가격 상승(16.3%)’이 수출 업체의 가장 큰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제조업·고용 지표 악화로 인해 경기부진에 대한 우려는 지난 분기 대비 증가(+3.1%p)한 반면,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비 부담은 다소 완화(-3.4%p)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 허슬비 연구원은 “설비가동률 등 우리 수출 산업의 대내 여건 개선이 기대되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 “글로벌 경기, 수입규제 관련 대외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만큼 주요국 금리 및 통상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