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드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부상하고 있다. 그간 군용 위주였던 드론 기술이 2010년대 들어 점차 민간 영역으로 확산하면서, 드론은 국가안보뿐 아니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도 직결되는 '전략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4일 발표한 ‘K-드론 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드론 교역 규모는 2022년 24.7억 달러에서 2024년 61.1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폴란드·미국·이스라엘 등 주요국
[기계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금)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관계부처 합동 방안을 발표했다.이번 방안은 인공지능(AI) 등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에 따라 세계 각국이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나가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경제 성장 정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 주도 성장이 시급하다는 문제 인식에 따라 마련되었다.특히 우수한 인재가 모여들어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가 다시 인재를 유인하는 선순환
[기계신문]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4일(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인공지능(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이번 대책은 지난 8월 21일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10월 1일(수)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마련되었다.그간 기업간담회 등에 참석한 중소기업들은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
[기계신문] ‘산업의 쌀’이자 국내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인 철강산업의 위기 징후가 확산됨에 따라, 정부가 철강산업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다.산업통상부는 4일(화)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기업 애로 해소 및 통상대응 강화 ▲수소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골자로 하는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정부가 제시한 ‘철강 설비규모 조정의 3대 원칙
[기계신문]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2025년 10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한 595.7억 달러, 수입은 1.5% 감소한 535.2억 달러, 무역수지는 60.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10월 수출은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 축소에도 불구하고,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인 595.7억 달러(+3.6%)를 기록하면서 6월부터 5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일평균 수출(29.8억 달러, +14.0%)은 전 기간 기준 최대치를 경신했다.10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4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25.4
[기계신문]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재도약과 글로벌 선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혁신 역량, 시장 역량, 생태계 역량 3대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수요-공급기업이 집적화된 국내 대표 소부장 생산기지인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2030년까지 10개 추가 지정한다.정부는 지난 23일(목) 서울청사에서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026~2030)'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2019년 일본 수출규제 이후,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산업법을
[기계신문] 산업연구원(KIET)은 최근 ‘한국 배터리 산업의 위기 진단과 극복 전략 : 미국 감세법(OBBBA) 영향과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전기차 보조금 제도 후퇴 후 독일, 스웨덴, 프랑스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이 각각 27%, 16%,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9월 말 전기차 구매세액공제가 종료되는 미국 역시 전기차 배터리 판매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보고서는 OBBBA(The One, Big and Beautiful Bill Act) 영향으로 미국 배터리 시장이 침체할 경우 총 570GW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8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한 584.0억 달러, 수입은 4.0% 감소한 518.9억 달러, 무역수지는 65.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8월 수출은 584.0억 달러(+1.3%)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조업일수 1일 감소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번 수출 실적은 역대 8월 중 최대치이며, 6월부터 3개월 연속 월별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하였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5.8% 증가한 26.0억 달러를 기록했다.8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3개 품목 수출이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608.2억 달러, 수입은 0.7% 증가한 542.1억 달러, 무역수지는 66.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7월 수출은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인 608.2억 달러(+5.9%)를 기록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5.9% 증가한 24.3억 달러를 기록했다.7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자동차·선박 등 3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94.7억 달러, +39.3%)를 중심으로
[기계신문] 한국 반도체 수출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9.5%의 속도로 성장하였으나, 동기간 메모리 수출이 시스템 반도체 수출보다 2배 빠르게 확대되며 메모리 중심의 수출구조가 고착화되었다.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30일 발표한 ‘팹리스 스타트업 활성화 및 수출 연계 전략’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지속 성장하기 위해 팹리스 스타트업을 육성해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산업이 성장하며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
[기계신문] 산업연구원은 9일 ‘반도체 글로벌 지형 변화 전망과 정책 시사점(부제 : 반도체 전쟁, 5년의 승부)’ 보고서를 통해 현재 AI·데이터센터 반도체 수요 급증에 따른 기회를 잡아야만 HBM 등 첨단 메모리 경쟁우위 수성과 파운드리 입지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보고서는 향후 5년(2026-2030) 데이터센터向 반도체 시장 규모가 700조원에서 3,000조원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여러 기관들의 전망치를 제시했다. TSMC 5/4nm 매출액과 웨이퍼 단가 추정치로 계산해볼 때, 현재 빅테크·팹리스 주요 고객
[기계신문] 그동안 우리 정부는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와 교역구조 혁신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시행해왔다. 최근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 예산 규모는 지속 확대되었으며, 사업 수 및 수혜기업 수도 크게 증가했다.정부의 기업 지원사업은 일차적으로는 기업의 제품 경쟁력, 마케팅 역량 등 내부 역량 수준을 향상시키고, 증대된 역량을 기반으로 기업의 수출성과를 높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8일 발표한 ‘정부지원사업의 수출기업 성과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각종 지원사업에 참여한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6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한 598.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507.2억 달러, 무역수지는 90.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6월 수출은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인 598.0억 달러(+4.3%)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6.8% 증가한 28.5억 달러로 역대 6월 중 1위 실적을 경신하였다.6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사상 최대 실적인 149.7억 달러(+11.6
[기계신문]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2025년 3월 공작기계 시장은 주요국의 정책 불확실성 등에 따른 글로벌 제조업 수요 둔화 및 설비투자 지연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도, 중국 등의 수출 증가로 인해 월 수출이 2억 달러를 상회하였다.3월 공작기계 수주는 3,152억 원으로 전월대비 +34.1% 증가하고, 전년동월대비 △0.9% 감소했다. 내수수주는 1,263억 원으로 전월대비 +34.0% 증가, 전년동월대비 △4.0% 감소했다. 수출수주는 1,889억 원으로 전월대비 +34.2% 증가, 전년동월대비 +1.4% 증가했다.202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한 572.7억 달러, 수입은 △5.3% 감소한 503.3억 달러, 무역수지는 +69.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5월 수출은 572.7억 달러(△1.3%)를 기록했다. 조업일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1.0%)한 26.6억 달러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5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5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HBM·DDR5 등 고부가 메모리 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지
[기계신문]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4일(수)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 관세 대응 중소기업 추가지원 방안’을 발표했다.올해 중소기업 1분기 수출실적은 270억 달러로, 역대 1분기 기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하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선방하고 있으나, 25% 관세가 부과된 철강·알루미늄의 對미 1분기 수출실적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7월 9일 발효 예정인 상호관세에 대한 수출 중소기업의 우려가 큰 상황으로, 많은 수출 중소기업들은 ‘수출국 다변화’, ‘수출 계약 지연·취소’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 지원을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4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한 582.1억 달러, 수입은 △2.7% 감소한 533.2억 달러, 무역수지는 +48.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4월 수출은 582.1억 달러(+3.7%)로 역대 4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지속하였다. 수출 증가율도 올해 1월 이후 전월 대비 상승 흐름을 지속 중이다.4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7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디램(DDR4 8Gb) 고정가격이 2024년 4월 이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3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 수입은 +2.3% 증가한 533.0억 달러, 무역수지는 +49.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3월 수출은 582.8억 달러(+3.1%)로 역대 3월 중 2위 실적을 기록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5.5% 증가한 26.5억 달러를 기록했다.3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7개 수출이 증가했다. IT 전 품목 수출이 2024년 7월 이후 8개월 만에 동시 플러스를 기록하였다.반도체 수출은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2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한 526.0억 달러, 수입은 +0.2% 증가한 483.0억 달러, 무역수지는 +43.0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2월 수출은 +1.0% 증가한 526.0억 달러, 1월 주춤했던 수출이 1개월 만에 반등하면서 회복세로 전환되었다. 일평균 수출은 23.9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9% 감소, 다만 설 연휴가 없는 2월 중에는 역대 1위를 기록했다.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컴퓨터·무선통신 등 IT 분야 2개 품목 및 자동차·바이오헬스 등 총 4
[기계신문] 한국기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기계기술정책 제118호 ‘기계산업 2024년 성과와 2025년 전망’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기계산업은 지정학적 리스크, 전방산업의 경기 불황 등의 부정적 요소로 인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기계산업은 전방산업의 침체 영향으로 생산은 2.8% 증가한 150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수출은 0.8% 감소한 609억 달러, 수입은 3.8% 증가한 538억 달러를 기록했다.2025년에는 중동지역의 대규모 플랜트 수주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지정학적 리스크, 건설경기 불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