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4년 10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한 575.2억 달러, 수입은 +1.7% 증가한 543.5억 달러, 무역수지는 +16.2억 달러 증가한 +31.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0월 수출은 +4.6% 증가한 575.2억 달러, 10월 누계 수출은 5,662억 달러로 전년 대비 +9.1% 증가하고, 올해 8월부터 3개월 연속 월별 최대실적을 경신하는 가운데 1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10월에는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10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우리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25억 달러(+40.3%)로 역대 10월 중 최대실적을 6년 만에 경신하면서 12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 수출도 두 자릿수(+54.1%) 증가한 10억 달러로 10개월 연속, 무선통신기기는 20억 달러(+19.7%)로 8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2위 수출 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한 62억 달러를 기록, 10월 기준 최대실적을 달성하면서 2개월 연속 월별 최대 수출실적을 경신하였다.
자동차부품 수출도 +5.9% 증가한 1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18.5% 증가한 12억 달러로 4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철강 수출은 +8.8% 증가한 29억 달러를 기록, 2월부터 8개월 간 지속된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9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아울러 석유화학(40억 달러, +10.2%)은 2개월 만에, 섬유(9억 달러, +2.5%)・가전(7억 달러, +5.0%) 수출은 3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한편, 석유제품 수출은 유가와 연동되는 제품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9% 감소한 3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중 5개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중국 수출은 1・2위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석유화학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2022년 9월(133억 달러) 이후 25개월 만에 최대치인 122억 달러(+10.9%)를 기록,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대미국 수출은 역대 10월 중 최대실적인 104억 달러(+3.4%)를 기록하면서, 15개월 연속 월별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대EU 수출은 53억 달러(+5.7%)로 무선통신기기와 바이오헬스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10월 수입은 543.5억 달러로, 7~9월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1.7%)했다. 국제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원유(△17.9%) 및 석탄(△9.4%) 수입이 두 자릿수 감소율 기록, 전체 에너지 수입은 △6.7% 감소했다.
에너지를 제외한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한 43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우리 반도체 수출 호조세와 연계하여 반도체 수입이 올해 매월 증가하였다. 다만, 자동차(△0.2%)·전화기(△19.2%)·석유제품(△13.1%) 등 수입은 감소했다.
10월 무역수지는 전년 동월 대비 +16.2억 달러 증가한 +31.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17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이어갔다. 1~10월 누적 무역수지도 2018년(+608억 달러) 이후 최대 흑자 규모인 399억 달러 흑자(+583억 달러)를 기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글로벌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3개월 연속 월별 최대실적을 기록했다”며 “특히 10월에는 우리 양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수출이 월 기준 1위 실적을 경신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중동 사태, 러-우 전쟁 등 리스크 요인들이 어느 시점에 종식될지 가늠하기 어렵고, 미 대선 등 대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상황”이라면서 “수출 호조세가 연말까지 이어져 역대 최대 수출실적 달성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수출 확대에 모든 가용한 자원을 집중하여 총력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최근 ‘수출 붐업 코리아 위크(10.16~31)’에서 우리 수출기업과 해외 바이어 간 진행한 수출 상담이 연내 수출실적으로 빠르게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연말까지 수출현장 지원단을 집중 운영하면서 우리 수출기업의 현장애로를 적극 발굴하고, 즉시 해소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안 장관은 “미 대선 결과에 따라 미국의 경제·통상 정책 등에도 변화가 예상되는 등 우리 통상환경에 다소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면서 “산업부는 예상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산업·통상·에너지 등 분야별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으며 주요 업계·경제단체·전문가 등과 민관 합동으로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우리나라의 국익과 업계 이익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