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개소식이 지난 23일 충남 천안시 충남테크노파크에서 김태흠 충남도지사,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충남테크노파크가 운영하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을 선도할 국내 최초 디스플레이 전주기 실증 인프라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총 1,598억 원을 투입해 지상 4층·지하 1층, 연면적 1만 3,320㎡ 규모로 건립됐으며, 장비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정, 혁신 공정, 시험평가 등 총 63종 65대를 구축했다.
센터는 중소·중견기업의 공정 혁신과 기술·제품 조기 상용화를 지원할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한다. 기술 검증과 시제품 제작, 평가·인증, 인력 양성 등 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을 하며, 삼성·LG 등 앵커기업에 중소·중견기업 개발품 검증 결과를 제공해 전후방 산업도 연계한다.
세부 추진 계획 사업으로는 ▲OLED 검증 및 평가 서비스 ▲시험 분석 및 모듈 개발 지원 서비스 ▲재료·구조·소자·패턴·장비 검증 및 평가 ▲차세대 장비 검증 ▲해외 글로벌 소부장 공정 검증 서비스 등이 있다.
또 ▲충남 디스플레이 소부장 개발 지원 ▲산학연 연구개발(R&D) 인프라 지원 공동 사업 유치 ▲차세대 핵심 플랫폼 과제 수주 ▲미래 디스플레이 공동 개발 과제 추진 ▲기업 재직자 실습 프로그램 제공 ▲디스플레이 관련 교육 및 행사 시설 지원 등도 세부 사업으로 설정했다.
충남도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가 본궤도에 오르면 ▲초저원가 구현을 위한 공정 방식 혁신 및 혁신 소재·공정 기술 개발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신시장 창출을 위한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중소·중견기업 지원 협력 체계 및 R&D 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소재·장비-패널-세트 기업 간 선순환 생태계 조성 등의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그동안 충남은 특화단지 유치에 이어 4,840억 원 규모의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등 강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왔다”며 “이번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를 통해서는 OLED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소부장 개발 지원과 R&D, 인력 양성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은 2023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약 2,401조 1,000억 원)의 3.12%, 2023년 기준 총 수출액(약 6,300억 달러)의 2.95%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1,181억 달러에 달하며, 우리나라는 394.4억 달러로 33.4%, 세계 2위 수준이다.
충남의 디스플레이 생산액은 226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19.4%, 우리나라의 58.1%를 점유하고 있다. 아산에는 세계 디스플레이 패널 1위 선도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가 있고, 전후방산업 중소기업도 204개사에 달한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