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25년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월 수출은 △10.3% 감소한 491.2억 달러를 기록,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라 조업일수(20일)가 2024년 1월(24일) 대비 △4일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한 24.6억 달러로, 2022년(25.2억 달러)에 이어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월별 수출액 추이(억 달러)
월별 수출액 추이(억 달러)

1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컴퓨터 등 IT 분야 2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우리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01억 달러(+8.1%)로 역대 1월 중 2위 실적(1위 : 2022년 108억 달러)을 기록하면서,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및 9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이상의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 수출도 두 자릿수(+14.8%) 증가한 8억 달러로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한편, 1월에는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으나, 일평균 수출은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석유제품, 가전 등을 제외한 10개 품목이 증가했다.

1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1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특히 자동차(50억 달러, △19.6%)·차부품(16억 달러, △17.2%) 수출은 완성차 및 부품 업계가 1월 31일에도 추가적인 휴무를 시행하면서 타 품목 대비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크게 받았다.

다만, 자동차 수출은 1월 중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였다. 석유제품 수출은 국제제품가격이 2024년 1월 대비 하락한 가운데, 2024년 12월 말 주요 업체의 생산시설 화재로 수출물량 생산에도 일부 차질이 발생하면서 크게 감소(34억 달러, △29.8%)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전체에서 수출이 감소하였다. 對중국 수출은 춘절 연휴(1.28~2.4일) 영향으로 △14.1% 감소한 9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對미국 수출도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9.4% 감소한 9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1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1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3대 수출시장인 對아세안 수출은 소폭 감소(86억 달러, △2.1%)하였으나, 對아세안 수출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對베트남 수출(44억 달러, +4.0%)은 반도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1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주요 시장으로의 일평균 수출은 중동을 제외한 8개 지역에서 플러스를 기록했다.

월별 수입액 추이(억 달러)
월별 수입액 추이(억 달러)

1월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 수입은 △14.0% 감소한 113.6억 달러로 원유(△5.5%), 가스(△20.0%), 석탄(△35.0%) 수입 모두 감소하였다. 다만, 반도체 등 원·부자재가 포함된 에너지 외 수입은 설 연휴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면서 △3.9% 감소한 39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1월 수지는 수출(△10.3%) 대비 수입(△6.4%)이 낮은 감소세를 보이면서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2023뇬 1월 이후 월별 수지(억 달러)
2023뇬 1월 이후 월별 수지(억 달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면서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였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작년 글로벌 고금리, 러-우 전쟁, 중동사태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GDP 성장의 90%를 담당하면서 우리 경제를 이끌었다”며 “올해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안 장관은 2024년에 이어 올해에도 수출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수출 애로 해소 및 수출 확대에 총력 지원하는 한편, 주요 업종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메모리 가격 하락세 등 최근 우리 수출을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2월 중 ‘수출전략회의’를 개최, 우리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금융·물류·인증·마케팅 등 수출 전 분야에 걸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모두 담은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2025년 1월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무역·통상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만큼, 미국의 정책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하여 우리 수출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