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월 수출은 △10.3% 감소한 491.2억 달러를 기록,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라 조업일수(20일)가 2024년 1월(24일) 대비 △4일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한 24.6억 달러로, 2022년(25.2억 달러)에 이어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1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컴퓨터 등 IT 분야 2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우리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01억 달러(+8.1%)로 역대 1월 중 2위 실적(1위 : 2022년 108억 달러)을 기록하면서,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및 9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이상의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 수출도 두 자릿수(+14.8%) 증가한 8억 달러로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한편, 1월에는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으나, 일평균 수출은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석유제품, 가전 등을 제외한 10개 품목이 증가했다.
특히 자동차(50억 달러, △19.6%)·차부품(16억 달러, △17.2%) 수출은 완성차 및 부품 업계가 1월 31일에도 추가적인 휴무를 시행하면서 타 품목 대비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크게 받았다.
다만, 자동차 수출은 1월 중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였다. 석유제품 수출은 국제제품가격이 2024년 1월 대비 하락한 가운데, 2024년 12월 말 주요 업체의 생산시설 화재로 수출물량 생산에도 일부 차질이 발생하면서 크게 감소(34억 달러, △29.8%)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전체에서 수출이 감소하였다. 對중국 수출은 춘절 연휴(1.28~2.4일) 영향으로 △14.1% 감소한 9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對미국 수출도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9.4% 감소한 9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3대 수출시장인 對아세안 수출은 소폭 감소(86억 달러, △2.1%)하였으나, 對아세안 수출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對베트남 수출(44억 달러, +4.0%)은 반도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1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주요 시장으로의 일평균 수출은 중동을 제외한 8개 지역에서 플러스를 기록했다.
1월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 수입은 △14.0% 감소한 113.6억 달러로 원유(△5.5%), 가스(△20.0%), 석탄(△35.0%) 수입 모두 감소하였다. 다만, 반도체 등 원·부자재가 포함된 에너지 외 수입은 설 연휴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면서 △3.9% 감소한 39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1월 수지는 수출(△10.3%) 대비 수입(△6.4%)이 낮은 감소세를 보이면서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면서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였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작년 글로벌 고금리, 러-우 전쟁, 중동사태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GDP 성장의 90%를 담당하면서 우리 경제를 이끌었다”며 “올해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안 장관은 2024년에 이어 올해에도 수출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수출 애로 해소 및 수출 확대에 총력 지원하는 한편, 주요 업종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메모리 가격 하락세 등 최근 우리 수출을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2월 중 ‘수출전략회의’를 개최, 우리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금융·물류·인증·마케팅 등 수출 전 분야에 걸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모두 담은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2025년 1월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무역·통상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만큼, 미국의 정책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하여 우리 수출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