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인공지능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인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이 29일(수) 개관했다. 양재·우면동 일대에 흩어져있는 AI 산업 지원 시설의 컨트롤타워이자, 카이스트 AI대학원·공군 AI신기술융합센터 등 국내외 AI 산업의 산·학·연 역량을 한데 모아 인공지능 생태계 중심으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2017년부터 AI 스타트업 육성기관을 조성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입주·멤버십 기업으로 360여 개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기업매출 3,659억 원, 투자유치 3,694억 원 등의 성과를 거뒀다.
허브 소속기업이 CES에서 최고혁신상(2개)을 포함하여 16개의 혁신상을 수상하였으며, 졸업기업인 크라우드웍스는 국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하기도 했다.
민간건물을 임차하여 AI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시작한 ‘서울 AI 허브’는 교육, 네트워킹, 기업투자유치 지원 등으로 기능이 확대되었으며, 이번에 개관하는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10,020㎡)을 포함해 지원 면적도 7배 이상(2017년 1개 시설 4,000㎡ → 2024년 5개 시설 28,233㎡) 확대되었다.
이번에 신축한 앵커시설과 함께 기존의 스타트업 입주공간 제공, 국내외 네트워킹 등의 역할을 하는 3개 민간 임차시설, AI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설인 AI교육센터(시 소유)를 모두 ‘서울 AI 허브’라고 명칭한다. 앵커시설에는 운영사무실과 협력기관이 입주하여 서울 AI 산업 육성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서초구 태봉로 108(연면적 10,020㎡)에 들어선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서울시가 신축한 첫 번째 지원시설이다. 지하 1층~지상 7층 규모로, 협력기관과 기업 간 활발한 네트워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픈형 라운지와 코워킹 공간을 층마다 배치했고, 교육공간·대중규모 회의공간·기업 입주공간 등으로 조성됐다.
1~2층은 로비, 카페, 오픈라운지, AI교육실로 구성되며 AI 기업과 연구인력은 물론 시민들도 자유롭게 방문 가능하다. 3~4층은 업무공간으로 AI 스타트업과 협력기관이 입주하며, 180석 규모의 대규모 회의공간이 있어 AI 산업 관련 콘퍼런스 등을 진행할 수 있다.
5~7층은 ‘카이스트 AI대학원’이 이전·입주할 예정이다. 입주기업과 카이스트 연구원들이 편하게 소통 가능하도록 4~6층에는 층별 이동이 자유로운 커뮤니티 계단 등을 설치했다.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에서는 AI 기술 연구 협력 및 대·중견기업 연계 네트워킹을 확대할 협력기관과 기업 재직자 대상 교육 및 우수 인재 공급을 지원할 교육기관을 유치하여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확대, AI 기술 적용 융·복합 교육 확대 등 협력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카이스트 AI대학원과 허브 기업의 연계로 우수 인력을 적시 공급함으로써 스타트업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인 인력난을 해소하고, 대학원 교수진의 기업 임직원 대상 교육·산학협력 연구 프로그램 등을 통해 기업가치 창출 및 확장을 지원한다.
공군 AI신기술융합센터와 허브 기업의 방산 분야 진출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등 기술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공군 R&D사업 추진 과정에 우수 스타트업 참여기회를 부여한다. AI 신기술 개발을 위한 군 시설 테스트베드(20비행단) 제공에도 협력한다.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와 협회가 보유한 대·중견기업 네트워크 활용으로 산업 분야별 수요기업과 입주기업 간의 협업 및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서울 AI 허브의 운영기관인 서울대학교 AI연구원 교수진 주도의 ‘(가칭)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을 통해 국내 AI 연구자와 해외 연구기관 연구자가 연구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저명한 해외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초빙하여 허브 소속기업 및 국내 AI 연구인력들의 세미나 등 글로벌 연구 협력 거점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딥러닝 분야 최고 권위기관인 캐나다 ‘밀라(MILA) AI 연구소’, 유럽 최대 인공지능 연구 컨소시엄인 독일 ‘사이버밸리(Cyber Valley)’, 캐나다 AI 연구 생태계 중심 컨소시엄인 ‘이바도(IVADO)’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AI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체계 조성을 가속화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도 AI 분야 국내 스타트업, 서울시민, 예비 창업가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허브 소속기업과의 기술 공유 및 네트워크 형성에 주력한다.
성장기업 입주공간으로는 중규모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20명 내외가 업무 가능한 4개 공간을 마련하였고, 현재 공개모집을 통해 3개 기업을 선발해 입주하였으며 나머지 1개 기업도 공개모집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성장기업을 선발하기 위해 입주조건을 해외 박람회 등 창업 활동 관련 수상 실적, 매출 실적 또는 투자유치 금액 규모 등을 기준으로 한다.
공개모집을 통해 웨이브라이프스타일테크, 네이션에이, 에임퓨처 기업이 선발되었으며, 특히 네이션에이와 에임퓨처는 각각 2022년 6월, 2021년 3월 입주한 기업으로 허브의 기업 성장지원, 투자연계 등의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직원규모, 투자유치 등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날 AI 기술은 혁신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고, 서울시 행정도 올해를 ‘인공지능 대전환(AX)’ 시대로 돌입하는 AI 행정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AI를 비롯한 첨단산업 기업의 기술력을 키워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 세계 인재와 기업, 자본이 서울로 모일 수 있도록 서울 AI 허브 개관을 시작으로 인적·기술 교류 확대는 물론, 투자와 글로벌 판로 개척에서의 시너지를 얻어 서울이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에너지와 역량을 아낌없이 쏟겠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