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 계획은 다양한 사이버위협에 대응하여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보호 직무를 정의하고, 2026년까지 사이버보안 재직자 6만명, 신규 4만명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이다.

[기계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 주관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한국정보기술연구원(KITRI)과 함께 20일(수) 노보텔 엠베서더 서울강남에서 ‘2023년도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 계획은 과기정통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이 다양한 사이버위협에 대응하여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보호 직무를 정의하고, 2026년까지 사이버보안 재직자 6만명, 신규 4만명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이다.

지난해 7월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 계획을 발표한 이후 실질적인 사이버보안 인재양성 추진을 위해 2023년에는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을 추가하고, 화이트햇스쿨(KITRI, 300명), S-개발자(KISIA, 51명), 시큐리티 아카데미(KISIA, 100명) 등을 신설하였으며 약 19,000여명의 사이버보안 인재를 양성하였다.

또한 기존 판교의 실전형사이버훈련장의 수용 규모를 크게 확대했으며(1,087명→2,820명), 동남권(부·울·경)에도 올해 10월 실전형사이버훈련장을 개소하여 사이버보안 인재교육기관의 수도권 편중을 해소하고 지방에서도 양질의 사이버보안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실전형사이버훈련장 교육 과정 사례

2024년에는 기업이 학생 선발, 교육, 취업까지 전 과정을 주관하는 시큐리티아카데미를 확대하고(100명→200명),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사이버보안관제 교육과정’ 신설 등을 위해 올해보다 20% 이상 예산을 증액 편성하였다.

사이버보안관제는 사이버공격 정보를 탐지·분석하여 즉시 대응조치를 강구할 수 있는 보안전문가를 말하며,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 제10조의 2(보안관제센터의 설치·운영)에서는 중앙행정기관의 장,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공공기관의 장은 보안관제센터를 설치·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내 유망한 젊은 연구자가 교육 및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우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이버보안 분야 상위 20위 이내 대학 등(CMU, MIT, CISPA)에 파견하여 연구역량 배양 및 국제적 전문가 유대관계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성과공유회에서는 충북대학교 김태성 교수가 ‘정보보호 인력양성 외연확대 필요성’을 연구·발표하였고, 이글루코퍼레이션 손보형 팀장이 ‘산업계의 사이버보안 직무 현안’에 대해 공유하였다.

토론시간에는 사이버보안 인재양성 관련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국내 산업계의 사이버보안 직무의 문제점 및 대응방향 등을 공유하고, 디지털 기술의 융합·확산에 따른 사이버위협의 증가에 따른 사이버보안 인재양성 고도화 방안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마지막 과정에서는 실제 정부 지원 교육과정 수혜자들이 참석하여 교육과정 입문에서부터 수료 및 취업까지 전 과정에 걸친 경험 공유를 통해 청년층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담은 제언 등 사이버보안 인재양성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과기정통부에서 사이버보안 10만 인재양성을 총괄하고 있는 정창림 정보보호네트워크 정책관은 “디지털화가 심화되면서 ‘사이버보안’은 국가의 핵심 자원을 보호하는 ‘사이버안보’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이버보안 인재양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