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특화단지 조성에 6.7조원 신규 투자

[기계신문] 2021년 2월 5개 분야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최초 지정한 이후 2년 6개월 만에 5개 특화단지가 추가 지정됐다.
20일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위원장),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부위원장)을 비롯한 관계부처 장관 및 민간위원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미래차, 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로 지정 대상을 확대하고, 광주(미래차), 대구(미래차), 충북 오송(바이오), 부산(반도체), 경기 안성(반도체) 등 5개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이번 특화단지 조성에 약 6.7조원의 기업 신규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미래차 분야 특화단지는 자율주행,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에 따라 높은 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는 핵심부품들의 자립화, 내재화(전기차 모터 자립률 50→90% 등)를 추진한다.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는 코로나19 이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백신 등 의약품 제조공정(배양→정제→완제)에 필수적인 원부자재 자립을 목적으로 한다. 반도체 특화단지는 반도체 장비, 전력반도체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특화단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테스트베드, 사업화 등 기술자립과 국내복귀 기업지원, 지방투자 등 단지 내 기업유치를 지원하고, 특화단지별 추진단을 구성하여 규제개선과 기업 건의사항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오늘 발표한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5개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가 국내 소부장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상호 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은 “오늘 지정된 특화단지들이 우리 경제의 강력한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각종 인허가, 인프라, 연구개발(R&D)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난 6월 신설된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센터’를 활성화하고 올해 하반기에 ‘산업공급망 3050 정책’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