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월) 제2차 ‘2023년도 융합혁신지원단 심화기술지원사업’을 공고하고, 국비 17억 원 규모, 약 25개 내외 과제를 선발하여 지원한다고 밝혔다.
융합혁신지원단은 39개 공공연구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대 분야 기초소재, 응용소재, 전자부품, 모듈·부품, 시스템·장비에 대하여 연구기관의 기술·인력·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해 우리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업의 기술애로 해소 및 기술자립화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 2월 1차 공고에서는 바이오·의료, 섬유 분야 연구기관이 추가로 참여하면서 ‘원자력, 바이오·의료, 기계, 자동차, 전기·전자, 반도체, 섬유’ 등 다양한 업종의 과제가 선정되어 총 17억 원 규모, 24개 과제가 지원되었다.
융합혁신지원단은 기술지원사업을 통해 2023년 5월 기준 2,131개 기업의 애로기술 5,795건을 해결하였으며, 서비스 활용기업으로부터 만족도 94.75점(2022년말, 100만점)을 받아 소부장 기술애로 해결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2022년 동 과제를 통해 모듈·부품 분야 국비 1억 원의 지원을 받은 C기업의 경우, 과제 종료 후 사업화를 통해 관련 신규 매출이 약 120억 원 발생하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사업 참여를 원할 경우, 공공연-소부장 기업 간 공동기술개발과제 구성 및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한 후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에 자유공모로 신청하면 되고, 이후 선정평가를 거쳐 과제를 선발 및 지원한다.
사업공고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KIAT 과제관리시스템(k-pass.kr)을 통해 오는 8월 3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 및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앞으로도 중소·중견기업의 소부장 관련 애로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