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칭)3050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기획을 본격 추진한다.

[기계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예타 기획 총괄위원회 1차회의’를 개최하고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칭)3050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기획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6월 15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추진전략’을 수립하면서 2030년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14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제품 후보군을 도출하고 중점투자가 필요한 59개 기술을 선정, 기술 고도화 및 실증을 위한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예타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 2030년 상용화 제품 후보군

이번 ’3050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기획하여 그간 정부 주도로 지원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원천 기술 및 초기 단계의 실증 기술을 기업 현장에 적용·확산하여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이행안에서 도출된 중점 제품과 기술군을 이산화탄소 활용 규모, 기술개발 및 상용화 수준에 따라 3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실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 세부유형 및 기술 단계별 확산 전략(안)

그간 K-CCUS 추진단은 2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관심도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회에 걸친 기업간담회와 심층 대면 조사 등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이행안에서 도출한 제품군에 대한 기업의 높은 관심도를 확인,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따라 기업의 수요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주관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동 예타사업 기획에 다양한 기술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온라인 조사를 12월 30일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며, 기술개발 수요가 있는 기업·연구자는 주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수요를 제안할 수 있다.

K-CCUS 추진단, 한국연구재단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에서 수렴한 수요조사 결과는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위원회를 통해 사업 기획에 활용할 계획이다.

동 사업의 기획을 위한 총괄위원회에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이행안 민간위원장을 맡은 김재현 공주대학교 교수를 비롯하여 발전·철강·시멘트·석유화학·정유 등 수요기업 관계자 등이 참여하며, 12월 20일 착수회의에서 기업 수요조사 결과 및 예타 기획방향 공유 등을 시작으로 상세기획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부처 협력을 기반으로 ‘3050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사업을 착실히 기획하여 내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거쳐 2024년 착수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려면 기업 수요가 가장 중요하며, 정부 투자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 천영길 에너지전환정책관은 “기술을 넘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를 탄소중립 新산업으로 집중 육성해 글로벌 기후위기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조기상용화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