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카자흐스탄 알마싸담 삿칼리에브(Almassadam Satkaliyev) 에너지부 장관과 두산에너빌리티 김정관 마케팅부문장
(왼쪽부터) 카자흐스탄 알마싸담 삿칼리에브(Almassadam Satkaliyev) 에너지부 장관과 두산에너빌리티 김정관 마케팅부문장

[기계신문]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23일 창원 본사에서 카자흐스탄 에너지부와 ‘카자흐스탄 발전산업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양 기관은 카자흐스탄 발전산업 개발 및 현대화를 위해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카자흐스탄은 화석연료 발전 설비용량이 전체의 약 80%에 육박한다. 이 중 30년 이상 된 노후 화력발전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해 개·보수 및 현대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06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카자흐스탄 정부는 울켄 지역에 원전 2기를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관련해 원전 도입 여부에 대한 국민 투표를 실시했고, 투표자의 71.12%가 원전 건설에 찬성했다.

두산에너빌리티 김정관 마케팅부문장은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한 원자력, SMR, 가스터빈 등 무탄소 발전기술은 카자흐스탄 전력 계획에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협력을 더욱 확대 강화해 카자흐스탄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에너지 안보 확보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카자흐스탄 남부 심켄트 지역에 1조 1,500억 원 규모의 복합화력발전소 건설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6월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기간에 삼룩카즈나, 삼룩에너지 등 카자흐스탄 금융·에너지 국영 기업들과 카자흐스탄 발전산업 공동 협력에 관한 협력 협정(Cooperation Agreement)을 체결하고, 화력발전소에 대한 환경설비 공급을 추진하는 업무협약을(MOU)를 체결한 바 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