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SK어스온은 호주에서 진행된 해상 탄소 저장소 탐사권 입찰에서 호주 북부 해상 카나르본 분지에 위치한 G-15-AP 광구 공동 탐사권을 따냈다고 8일 밝혔다.
SK어스온의 지분은 20%이며 호주 에너지 투자전문회사 롱리치(LongReach Capital Investment) 산하 CCS 전문 기업 인캡쳐(InCapture, 75%), CCS 기술 컨설팅 전문 업체 카본CQ(CarbonCQ, 5%)와 함께 개발에 참여한다.
SK어스온은 약 6년간 해당 광구의 저장 용량 및 사업성 평가를 진행, CO₂ 저장소 개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후 사업성이 검증되면 추가 입찰 없이 호주 정부로부터 개발·주입권을 확보해 2030년부터 본격적인 CO₂ 주입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탐사권 획득은 SK어스온의 자원개발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SK어스온은 40년 이상 해외자원개발을 이어오며 광구 탐사·개발 역량을 갖춰왔으며, 현재 8개 국가에서 10개 광구 및 3개의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그간 구축한 자원개발 경험 및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돼 자원개발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높일 계획이다.
G-15-AP 광구는 호주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탄소의 포집·저장을 주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광구로 의미가 크다. SK어스온은 해당 광구의 CO₂ 저장소 확보에 성공할 경우 호주 현지 수요에 적극 대응할 뿐 아니라 국내 CO₂ 포집 업체들과 협업해 한-호주 간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마련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과 합병을 앞둔 SK E&S와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도 기대된다. SK어스온과 SK E&S 양사의 자원개발 및 CCS 기술역량을 활용해 호주 해상 등지에서 글로벌 CCS 허브 구축의 성공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이번 CO₂ 저장소 탐사권 확보를 시작으로 SK어스온의 두 축인 자원개발사업과 CCS 사업이 시너지를 창출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면서 “SK어스온은 SK E&S와 함께 선도적으로 해외 저장소 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지난 40여 년간 축적해온 자원개발역량을 토대로 SK E&S와 협력해 성공적인 CCS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