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부산 영도구 부산항국제선용품유통센터 내에 수리조선산업의 친환경 스마트화 전환을 지원하는 거점시설인 ‘스마트수리조선지원센터’가 25일 개소했다.
이날 열린 개소식에는 김병기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 부산테크노파크 원장, 부산항만산업총연합회장 등 관련 산업계 인사 40여 명이 참석했다.
스마트수리조선센터의 친환경 스마트 장비는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됐다.
센터는 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친환경 자동화 블라스팅 장비 등 20종 61개의 수리조선장비를 체험할 기회를 기업에 제공해 이들 장비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환경이 열악한 수리조선소를 지원하는 전용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스마트 특성화 사업’은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자원과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이 고도화·다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부산시는 총사업비 77억 6천만 원(국 52.8억·시 24.8억)을 투입해 부산테크노파크, 중소조선연구원, 한국선급, 한국선박수리공업협동조합과 함께 2021년 4월 스마트 친환경 장비 구축을 시작했다. 수리조선장비는 부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도입했다.
부산시는 이번에 개소한 스마트수리조선센터를 중심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인력 고령화 등과 같은 문제로 침체 중인 부산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최근 신조시장 침체,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등 대외여건으로 인한 디지털 정보시스템 부족, 인력난, 설계 역량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해 수리조선산업과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앞으로 스마트수리조선센터의 역할도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병기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은 “이번에 개소한 스마트수리조선지원센터가 최근 선박의 환경규제 등으로 인한 수리·개조 수요 증대와 시너지 효과를 내며 지역 수리조선산업의 고도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국내 수리조선 업체의 86%가 밀집된 부산지역이 이 센터를 통해 친환경·스마트 수리조선 중심지로 다시 한번 도약할 기회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