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삼성전자㈜ 한신희 수석연구원과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 박용대 수석연구원
(왼쪽부터) 삼성전자㈜ 한신희 수석연구원과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 박용대 수석연구원

[기계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4년 4월 수상자로 삼성전자㈜ 한신희 수석연구원과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 박용대 수석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한다.

한신희 삼성전자㈜ 수석연구원은 비휘발성 메모리 공정 분야 전문가로서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받는 MRAM 및 eMRAM의 생산 및 에너지 효율 개선 등 반도체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해 대기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며 데이터 기록 시 필요한 동작 전압도 낮아 전력 효율이 우수한 메모리이다.

28나노 MRAM이 적용된 위치 추적용 스마트 GNSS 칩(좌)과 MRAM 내장 GNSS 칩(우) * GNSS : 인공위성을 이용 지상물의 위치, 고도,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8나노 MRAM이 적용된 위치 추적용 스마트 GNSS 칩(좌)과 MRAM 내장 GNSS 칩(우) * GNSS : 인공위성을 이용 지상물의 위치, 고도,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그가 주력해 연구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MRAM(자기 저항 메모리)의 개발과 상용화는 파운드리(foundry, 외부에서 제품 설계를 넘겨받아 반도체를 생산하는 일)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성과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비휘발성 내장형 메모리의 경우 28nm 이하 미세 공정에서는 구현이 어려워 향후 대체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자율 주행, 전기자동차, 소프트웨어 제어 고도화 등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고성능 반도체와 비휘발성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신희 수석연구원은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28nm MRAM을 세계 최초로 양산화하는데 기여하고, 14nm MRAM 기술 개발을 이끌어 기술 차별화를 통해 리더십을 증명하였다. 또, 주요 자동차용 반도체 고객들로부터 삼성 파운드리 MRAM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추가 공정 개선을 통해 쓰기(write, 정보를 저장 및 기록하는 것) 동작 시 쓰기 횟수를 108배, 에너지 효율을 70%까지 높였다. 이를 국내 시스템반도체 회사와 제품화함으로써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 연구기관에 MRAM 기술을 설계에 활용하고 특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쓰기 횟수 및 쓰기 에너지 효율 개선(좌)과 4nm 핀펫에 구현한 MRAM(우)
쓰기 횟수 및 쓰기 에너지 효율 개선(좌)과 4nm 핀펫에 구현한 MRAM(우)

한신희 수석연구원은 “앞으로도 자기 저항 메모리 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여 국내 반도체산업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박용대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 수석연구원은 종합밸브 제조 분야 전문가로서 고부가가치 LNG 운반선용 초저온(영하 196도) 버터플라이밸브를 개발·국산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버터플라이밸브(butterfly valve)는 밸브 관내 원판 중심선을 축으로 원판이 회전함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를 말한다.

출하 대기 중인 버터플라이밸브 제품
출하 대기 중인 버터플라이밸브 제품

지난 2017년까지 국내 3대 대형조선소는 유럽으로부터 초저온용 버터플라이밸브를 전량 수입하여 LNG 운반선 건조 작업을 진행했다.

이후 2018년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이 초저온용 버터플라이밸브를 개발함으로써 수입 대체가 가능하게 되었고, 현재는 시장점유율이 80%까지 확대되어 2023년 기준 누적 약 1,7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하였다.

LNG 운반선용 초저온 버터플라이밸브는 기술적 요건이 까다로워서 개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상온에서는 물론 영하 196℃의 초저온까지 넓은 범위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고, 30bar의 높은 압력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고성능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삼중 편심(Triple offset) 버터플라이밸브 구조
삼중 편심(Triple offset) 버터플라이밸브 구조

박용대 수석연구원은 초저온 버터플라이밸브를 개발하면서 100bar 이상의 고압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등 관련된 특허를 2건 등록하였다. 이는 박용대 수석연구원과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만의 독자 기술이며, 차세대 버터플라이밸브의 기술적 도약을 위한 기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용대 수석연구원은 최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에 필요한 가스밸브유닛도 개발했으며, 메탄올과 암모니아용 엔진에 필요한 연료공급장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박용대 수석연구원은 “오랜 시간 축적해온 기술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기술을 꾸준히 개발할 것이며,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조선업 발전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