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특허출원 2.4% 증가, 상표‧디자인 출원은 감소
[기계신문] 지난해 대기업 중심의 특허출원 증가에 힘입어 전체 지식재산권 출원량은 0.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가 발표한 ‘지식재산 통계 FOCUS(통권 23호)’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지식재산권 출원량은 총 55만 7천여 건으로 전년대비 0.03% 증가했으며, 4권리(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가운데 특허출원이 유일하게 2.4% 증가했다.
주요 권리별로 살펴보면 특허가 ▲2.4% 증가한 반면, 디자인은 ▼2.3%, 상표의 경우 ▼1.5% 감소해 특허를 제외한 모든 권리 분야에서 전년대비 하락세를 나타냈으나, 전체 출원량은 특허출원 증가 영향으로 소폭 상승했다.
이 가운데 특허는 대기업을 포함한 특정 상위 출원인에 집중하여 출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디자인의 경우 중소기업(▼5.5%) 및 내국개인(▼3.3%)을 중심으로 출원이 감소했으며, 상표 출원은 기업 부문과 외국인 출원은 감소한 반면, 출원 비중의 약 절반(48.2%)을 차지하고 있는 내국개인의 출원 활동에 힘입어 감소폭(▼1.5%)이 축소되었다.
특허출원인의 기업규모별 상위 10개 산업을 비교해보면, 대기업의 경우 반도체 등이 포함되는 전자부품산업 출원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중견기업의 경우 기타 기계·장비 산업, 중소기업은 SW개발업을 포함한 출판업의 출원비중이 가장 높아 기업규모에 따라 집중되는 산업 분야에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도 이번 지식재산 통계 FOCUS는 국가 전략기술 등 핵심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특허출원 동향 및 연관 산업을 분석하고자 인공지능 기술의 특허출원 통계를 제공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은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에 있으며, 인공지능 세부기술 가운데 특허출원이 가장 많은 분야는 시각지능기술(6,641건)이고, 최근 출원 성장률이 가장 높은 분야는 AI 서비스 분야로 나타났다.
한편, AI 서비스분야는 타 분야에 비해 상위 출원인에 의한 출원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과 커머스, 물류 등을 접목하여 개인화‧맞춤형 서비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발한 출원 활동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한편, 이번 자료는 지식재산 주요 통계의 신속한 제공을 목적으로 확정통계 발표 전 잠정통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특허청 또는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