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계연구원은 12월 5일(화) 대전 본원에서 노지자율예찰 융합연구단 사업단 현판식을 개최했다.

[기계신문]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5일(화) 대전 본원에서 노지자율예찰(APPLE, Autonomous disease and Pest forecasting PLatform for opEn field fruit trees) 융합연구단을 출범하고 현판식을 개최했다.

연구단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총 연구비 200억 원을 투입해 농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자율화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기계연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출연연과 경북대학교, 충남대학교 등의 대학을 포함하여 총 13개 기관이 참여한다.

연구단은 기존 사업과 달리 참여기관들의 융합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관기관인 기계연 대전 본원에 참여 연구원들이 결집하여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과제 종료 후에 원소속기관으로 복귀하는 ‘On-Site 융합연구’ 시스템을 실시한다.

현재 농업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며, 농기계 운용 위험 노출도 높아지고 있다. 또, 지속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로 병해충의 발생이 늘고 있으며, 최근에 발생한 빈대 확산 문제와 같이 수입국 품목 증가, 수입국 다변화 등으로 외래 병해충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노지 자율예찰 기술 개발은 병해충 조기 탐지 시스템과 방제 빅데이터 통합 및 서비스, 스마트 방제를 위한 플랫폼 표준, 농장 작물 모니터링 자율 농업기계 등 4가지 기술로 구성된다.

연구단은 이러한 기술들을 단순히 취합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인 기술 융합을 통해 실제 노지 과수원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병해충 모니터링 자율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근호 노지자율예찰 융합연구단장은 “연구단에서 개발할 노지 자율예찰 플랫폼 기술은 농경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노지 농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농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다양한 참여기관 연구원들과의 융합을 통해 많은 성과를 창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