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포스코그룹은 29일(수)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수산화리튬 공장과 광양제철소 내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Hyper NO) 공장을 준공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수산화리튬 공장 준공으로 그룹 신성장 동력의 핵심인 이차전지소재사업의 주요 원료를 국내에서 첫 상업 생산하게 된다. 또한 세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Hyper NO 공장을 증설해 글로벌 친환경차 소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2021년 포스코홀딩스와 호주 광산개발 회사인 필바라미네랄(Pilbara Minerals)이 합작해 만든 기업으로, 2024년까지 호주 광석리튬 기반 연산 총 4만 3,000톤 규모의 이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준공한 제1공장은 연산 2만 1,500톤 규모로, 같은 규모의 제2공장은 2024년 준공 계획이다. 수산화리튬 4만 3,000톤은 전기차 약 1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포스코그룹은 같은 날 광양제철소에 글로벌 친환경차 및 고급가전용 철강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연산 15만 톤 규모의 1단계 Hyper NO 공장을 준공했다.
포스코그룹은 2024년까지 광양제철소에 1단계와 동일한 규모의 2단계 공장을 준공하여 광양 30만 톤, 포항 10만 톤 등 총연산 40만 톤의 Hyper NO 생산 체제를 완성한다는 목표다. 이는 전기차 약 500만대에 들어가는 구동모터코아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준공 기념사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치 소재의 핵심 원료인 리튬 국산화와 고효율 전기강판 공급 확대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광석원료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자체 기술을 개발·적용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수산화리튬 생산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 소재 원료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Hyper NO 공장 증설로 국내 친환경차 관련 고객사들의 공급 부족 우려를 해소해 국가 산업 경쟁력에 일조할 수 있게 됐다. 향후 포스코그룹은 북미 전기강판 공장 신설을 검토하는 등 2030년까지 전기강판 연산 100만 톤 체제를 갖춰 글로벌 전기차 시장 도래에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