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미래, 혁신의 제조로’를 주제로

[기계신문]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주최하고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서울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로봇산업협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후원하는 ‘2023 제조혁신코리아(SMI KOREA 2023)’가 11월 28일(화)부터 29일(수)까지 양일간 서울 양재 aT센터 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스마트한 미래, 혁신의 제조로(Smart Technology, Innovative Manufacturing)’를 슬로건으로 하는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한 제조혁신 성과 공유 및 확산, 미래 스마트제조혁신정책 추진방향과 국내 제조산업 디지털전환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과 인식 제고, 공감대 형성의 장으로 마련되며, 100여 개사가 참여하고 15,000여명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오전 10시 aT센터 1전시장 메인홀에서 열릴 개막행사에서는 강철규 스마트제조혁신협회협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의 축사에 이어 ‘K-스마트제조 : 미래를 향한 혁신의 여정’ 주제영상이 상영된 후 제조데이터 경진대회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조강연으로 국내 WEF등대공장 1호를 달성하면서 글로벌 스마트공장 기술력을 자랑하는 포스코DX의 김미영 상무가 ‘디지털 트윈 : 미래 스마트제조혁신을 리딩하는 핵심 Key’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는 ▶로봇 및 자동화 ▶스마트공장 및 디지털화 ▶디지털 혁신관 ▶스마트인재 양성 및 미래 직업 등 4개의 테마와 내용으로 구성된다.
로봇 및 자동화 부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로봇과 자동화 솔루션이 전시되며,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고급 로봇기술, 로봇과 인간의 협업, 자동화 생산라인 등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로봇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한다.
스마트공장 및 디지털화 부문은 제조업에서의 스마트공장 기술과 디지털화에 초점을 두고 스마트 생산라인, 디지털트윈,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데이터 분석 등이 전시되며, 생산 프로세스의 최적화, 효율성 향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정력 강화 등에 관한 내용을 공유한다.
디지털 혁신관에서는 사무실과 현장, 회사 내·외부, 협업 파트너와 일하는 방식을 디지털화로 혁신하는 기술 및 서비스가 전시되고, 중대재해 및 탄소중립 등의 규제를 디지털화로 해결하여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돕는 제품 및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스마트인재 양성 및 미래 직업에서는 STEM 교육, 디지털 기술 교육, 제조 분야의 미래 직업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스마트혁신 분야에서의 창의적인 인재 육성과 교육 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한편, 부대행사로는 우선 제조혁신 Inner Circle Meet Up을 통하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공급기술 상담, 해외 수요기술 관련 상담, 서울시 우수 도시제조사들의 수요처 발굴 상담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컨퍼런스는 참관자가 원하는 정보를 골라 들을 수 있도록 다채로운 주제들을 다룬다.
28일 진행되는 ‘STEPI 스마트생산 열린혁신랩 컨퍼런스’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주최로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주관하며 제조 데이터 BM, 스마트 애그테크 워킹그룹 운영성과를 중심으로 2023 제조혁신 정책의제에 대해 다룬다.
아울러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최하고 카길애그리퓨리나, 매산양돈, 도뜰한돈,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주관하는 ‘2023 차세대 축산리더 아카데미 성과대회’에서는 2023년 차세대 축산리더 아카데미 성과보고, 수료식 및 우수 수료생 표창 및 포상, 스마트축산 트렌드쇼, 실천 다짐식 등을 진행한다.
둘째 날인 29일 열리는 ‘제조 디지털 트윈 컨퍼런스’는 ETRI와 스마트제조혁신협회, 엠아이큐브솔루션, 온메이커스 등이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후원하는 행사로, 기업의 수준 높은 제조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실제 적용 사례 공유에 초첨을 맞추고 있다.
같은 날 진행되는 ‘제조혁신 협업툴 기획 섹션 : 제조사에도 스며든다, 업무 방식의 DX & 협업 혁신’에서는 제조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는 업무 방식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플로우, 잔디, 구글워크스페이스 등 잘 알려진 협업툴과 해당 성공사례들이 소개된다.
특히 주목받고 있는 ‘규제를 돌파하는 스마트 제조 컨퍼런스’는 현재 제조사들의 가장 큰 현안인 중대재해 및 탄소중립 해결을 위해 마련된 자리로, 관련 솔루션과 기술, 서비스 등이 소개되고 선진 사례가 공유될 예정이다.
오전에는 중대재해 관련, 오후에는 탄소중립과 관련하여 위존, LG유플러스, 아이티공간, 누빅스, 아이핌, IBM, 에코비즈허브, 큐빅테크, 시즐 등이 첨석해 발표할 예정이다.
스마트제조혁신협회 관계자는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제조혁신코리아를 통해 비즈니스 매칭, 새로운 수준의 스마트공장 및 제조혁신을 위한 전략수립 및 실행방안 모색 등 국내 제조기업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우리 제조기업들이 급격한 시대 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