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헬기 생존능력 향상 위한 연구 시작

[기계신문]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지난 21일(금) 서울대학교에서 ‘국방 수직이착륙기’ 특화연구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특화연구센터’ 사업은 산업체, 대학 및 연구기관에 설립하여 특정 기술분야 연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우수한 민간 연구인력의 기술잠재력을 국방기술 개발에 접목함으로써 국방분야 핵심 기초기술을 확보하고 관련분야 인력 양성과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에 개소한 ‘국방 수직이착륙기’ 특화연구센터는 2029년까지 6년 동안 약 100억 원을 투자해 차세대 헬기의 생존능력 향상을 위해 소음저감, 적으로부터 피탐 확률을 낮추는 헬기형상 설계, 임무효과도 분석 등의 요소기술과 이를 통합하는 기반기술을 연구하고 해당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이를 위해 3개 전문연구실에서 총 9개 세부과제를 수행하며, 연구주관기관인 서울대를 중심으로 10개 대학·기관 등 국내 산학연 전문연구인력이 참여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 권영철 국방기술보호국장은 “특화연구센터를 통해 차세대 헬기의 생존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역량 결집 및 저변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며 “특화연구센터 연구목표 달성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박영수 기술기획본부장은 “특화연구센터 개소에 아낌없는 격려와 응원을 보내며, 첨단무기체계 국내개발과 우리나라가 항공분야 기술강국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관리와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홍유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장은 “고생존성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개발에 필요한 기반기술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특화연구센터가 개소됨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총 9개 특화연구센터를 운영 중이며, 앞으로도 국방 연구개발의 기반기술 및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지속 노력해나갈 예정이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