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비투지가 18일(화) 부경대학교 미래관 2층 CEO홀에서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한일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때 화합물반도체란 Si(실리콘), Ge(게르마늄)으로 대표되는 하나의 원소로 구성된 반도체에 대해 두 종류 이상의 원소가 결합해 반도체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을 화합물반도체라고 부르며, 대표적인 화합물반도체는 SiC, GaN, GaAs 등이 있다. 또, 디텍터는 방사선의 존재 또는 영상을 검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하는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심포지엄’은 그동안 일본 내에서 화합물반도체 검출기(디텍터) 연구개발의 최신동향을 공유하고 일본 내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일본 산·학·연 관계자들이 개최하던 모임으로, 올해부터는 범위를 확장하여 한일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부산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심포지엄은 향후 부산지역의 개최 정례화를 위해 부산시가 후원 협력을 하며, 올해부터는 한국 산·학·연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면서 행사명을 기존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심포지엄’에서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한일 공동심포지엄’으로 변경하였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한일 간의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과 국제공동연구 등을 위해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아오키 토루 교수(일본 시즈오카대학 부총장) ▲시마조 겐지 교수(일본 도쿄대학) ▲히로키 다나카 교수(일본 교토대학) ▲히토미 게이타로 교수(일본 도호쿠대학) ▲코지마 타카히로(일본 옥사이드 CTO) ▲박찬선 교수(한국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오경민 박사(한국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동향을 발표했다.
특히 18일 오전에는 기장군 방사선 의·과학 일반산업단지에 있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방문하여 의료 방사선 영상 관련 연구 시설을 견학하고, 향후 수출용 신형연구로 등 국책사업 관련 한일 공동연구 협의를 진행했다.
심포지엄 주관사인 ㈜비투지는 질화갈륨(GaN) 소재를 적극적으로 의료영상 분야에도 적용하려는 전력반도체 분야 강소기업이다. 질화갈륨(GaN) 기판 및 수직형 질화갈륨(GaN) 전력 소자 개발 등을 목표로 세계 최고의 질화갈륨(GaN) 기술을 보유한 일본 대학 및 업체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해왔다.
지난 6월 2일에는 부산시-비투지-옥사이드 3자간 기술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옥사이드는 일본 야마나시현에 위치한 반도체 소재 분야 강소기업으로, 단결정 및 레이저 관련 기술개발을 통해 반도체 소재 및 의료 분야의 상용화를 기업 목표로 하고 있으며, 비투지와 적극적인 기술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화합물반도체 디텍터’는 두 종류 이상의 원소가 결합하여 반도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질화갈륨(GaN), 카드늄텔룰라이드(CdTe)를 이용한다. 기존 하나의 원소로 구성된 실리콘(Si), 게르마늄(Ge) 반도체 검출기보다 방사선에 감도가 좋고 잡음이 적다. 특히, 의료 분야에 적용되면 적은 엑스레이 피폭량으로 좋은 화질의 방사선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송복철 부산시 경제특별보좌관은 “이번 ‘화합물반도체 디텍터 한일 공동심포지엄’을 통해 최신 연구동향 공유 및 한일 간 협력 네트워크을 구축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러한 협력을 바탕으로 화합물반도체의 미래 응용 분야 기술을 선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며 “부산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화합물반도체 산업 및 의료영상기기 산업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