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 안전성 평가센터’ 조감도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4일(목) 15:30, 전북 완주군에서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 구축사업’으로 추진 중인 ‘ESS 안전성 평가센터’ 기공식을 개최하고 ESS 안전협약을 체결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5월 제3차 ESS 화재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ESS 안전강화대책’을 발표, ESS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제도개선 및 인프라 확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ESS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17일 한국전기설비규정을 개정하여 충전율을 보증수명으로 변경, 사용 후 배터리 등 신기술 적용 안전기준을 마련 등 제도를 개선한 바 있다.

그간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등 개별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관은 있었으나, ESS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기관이 없어 화재원인 규명, ESS 안전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산업부는 세계 최초로 ESS 종합 안전성 평가센터를 구축하여 ESS 화재 예방을 위한 6대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국내 안전기준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ESS 전 사업장에 대한 실시간 안전관리시스템인 ESS통합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ESS 화재를 조기에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존 대면검사를 온라인 검사로 전환(2023년 7월 이후)하는 등 검사기법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과 협업을 통해 기술개발, 신규 모델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등 철저한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주요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및 전기안전공사와 ESS 안전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정부, 기업, 공공기관 간의 안전대책, 제도개선 등을 위한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으로 2036년까지 24.5 GW 규모로 확대되는 ESS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 이옥헌 수소경제정책관은 “전력안정성을 확보하고 ESS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화재로부터 안전 확보가 핵심”이라면서 “정부의 제도개선 노력과 기업의 자발적인 안전관리 의지가 융합된다면 국내 ESS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