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4월 3일(월)부터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재정지원 신청을 받는다.

[기계신문] 근로자 35명 규모의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사업주 A씨는 공장에 산업용 로봇 3대를 설치해 사용 중이다. 하지만 로봇의 검사, 수리 등을 위해 근로자가 로봇셀 내부로 들어갈 때 끼임이나 충돌로 인한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 있어 고민이 많았다.

산업안전보건규칙에 따라 방호울, 안전매트 등 방호장치를 설치하고, 근로자가 로봇셀 내부로 들어갈 때 반드시 로봇 가동을 중지하도록 안전교육도 하고 있지만, 로봇 오작동이나 조작 실수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은 여전히 있다. 최근 실시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 근로자들도 이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씨의 고민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해법은 로봇작업 시 재해예방을 위한 ‘스마트 통합안전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작업자가 로봇 가동을 중지하지 않은 채 로봇셀 내부에 진입해도 스마트 안전장비가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고, 로봇 가동을 감속시키다가 사람이 더 접근하면 작동을 중지시키고, 관리감독자 등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상황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A씨는 중소규모 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비 보급·확산 사업’을 통해 도입 비용의 최대 80%까지 지원받아 스마트 통합안전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생산성과 재해예방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었다. A씨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스마트 안전장비 14개 품목 중 지게차, 고소작업대 등 다른 위험 기계·기구에도 스마트 안전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4월 3일(월)부터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재정지원 신청을 받는다. 스마트 안전장비란 인공지능, 로봇공학, 정보통신, 사물인터넷, 센서 기술 등 신기술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재해예방 효과가 있는 안전보건장비를 말한다.

전체 사업장 중 50인 미만 사업장의 사고사망 비중은 2022년 80.9%에 이르고 있다. 중대재해가 줄어들고는 있으나, 여전히 50인 이상 사업장에 비해서는 그 추세가 느린 실정이다.

아울러 산업현장에서는 과학기술의 고도화로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장비·설비가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방식도 변화하고 있어 산업재해 예방도 더 과학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스마트 기술 기반 안전장비를 중소사업장에 대해 집중 지원하고자 올해부터 총 250억 원 규모의 ‘스마트 안전장비 보급·확산 사업’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중소사업장의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 비용의 부담을 덜어주고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높여 재해율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지원절차

지원대상은 ▶상시근로자 수 50인 미만 사업장 또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 규모 기준’ 이하인 기업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체납하지 않은 사업주이다.

신청은 ‘안전보건공단 클린사업장 조성사업’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며, 지원이 결정된 사업장은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 비용의 최대 80%를 사업장당 3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2023년 4월 기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원하는 스마트 안전장비는 인공지능(AI) 기반 인체감지시스템 등 총 14가지이며, 더욱 다양한 스마트 안전장비를 중소사업장에 보급하기 위해 지난 3월 9일부터 스마트 안전장비 제조사 또는 수입사로부터 지원품목 선정 신청을 받고 있어 지원품목은 계속 확대될 예정이다.

▲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품목(2023년 4월 기준)

또한, 고용노동부는 기술력은 있으나 자금 부족으로 인해 개발 중인 안전장비의 재해예방 효과성 검증에 어려움이 겪는 벤처기업 등의 신청도 받아 테스트베드 등을 지원하여 스마트 안전장비 개발도 활성화하고,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된 장비는 재정지원과 연계하여 중소사업장의 재해예방 효과 제고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류경희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장치·설비는 점점 복잡·대형화되는 추세로 안전관리를 기존 장비나 인력에만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재정상황이나 정보력이 취약하여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이나 활용도가 낮은 중소사업장에 스마트 안전장비를 지원함으로써 안전수준을 한 단계 높여 산업재해 발생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