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도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올해 원자력연구개발에 총 2,675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기계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023년도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올해 원자력연구개발에 총 2,675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은 원자력·방사선 분야의 과기정통부 대표 사업으로, 원자력의 안전한 이용 및 미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방사선 융합기술·산업의 육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추진하여 그간 꾸준한 성과를 창출해왔다.

▲ 2022년 원자력 연구개발사업 주요성과

올해는 전년 예산 2,471억 원에서 8.2%(204억 원) 증액된 총 2,675억 원 규모로 ▶원자력 핵심기술 분야(16개 사업, 1,355억 원) ▶방사선 활용기술 분야(8개 사업, 713억 원) ▶연구기반 구축 분야 (13개 사업, 607억 원) 등에 지원하며, 이 중 약 200억 원은 신규 과제(9개 사업, 총 43개 과제)에 투입될 예정이다.

원자력 핵심기술 분야는 차세대 원자력시스템 개발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중점 추진하고, 원전 안전·해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등 원자력의 안전한 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 ‘용융염원자로(MSR) 원천기술개발’,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기술개발’ 등을 신규 사업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방사선 활용기술 분야는 산업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실용화 지원사업과 그간 확보한 기초·원천연구 성과들을 활용하는 목적지향형 기술개발을 지속 추진하여, 올해는 의료·산업용 동위원소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연구기반 구축 분야에서는 원자력 연구개발 혁신동력 확보를 위해 기초연구, 인력양성, 시설구축, 국제협력 등 연구기반 강화를 중점 지원하며, 올해는 ‘도전 창의개인기초연구(신진연구자 대상)’, ‘미래원자력 시설장비구축 및 공동활용’, ‘국제협력 및 국제공동연구지원’ 사업 등에 총 25개 과제를 신규 지원할 계획이다.

▲ 2023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총 43개)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후 위기와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 등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 원자력의 역할과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향후 보다 적극적인 투자 확대를 통해 원자력이 미래에너지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