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37개 공공연구소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 융합혁신지원단을 통해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지원하는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 기술지원사업’을 14일(월) 공고했다.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은 지난 2020년 4월 소부장특별법에 따라 5대 분야 37개 기관으로 구성·설립된 공공연구기관 연합체이다(기초소재 : 화학연 등 11개, 응용소재 : 재료연 등 5개, 전자부품 : 전자연 등 6개, 모듈·부품 : 자동차연 등 5개, 시스템·장비 : 기계연 등 10개).
이번 사업은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이 직면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복수의 연구기관이 협업하여 자체 보유한 연구인력, 전문기술, 장비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사업으로 올해 70.5억 원이 투입된다.
설계, 시제품 제작, 사업화 등 제품개발 전단계에 걸쳐 단기기술 애로해소 및 심화기술 개발 형태로 지원되며, 올해는 탄소중립, 공급망 안정, 디지털 전환 등 3대 분야에 대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단기기술지원’은 3개월 미만 단기 기술자문으로서 공공연구소의 전문가가 기업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기술애로 분석, 기술지도·자문 등을 지원하며, 필요시 최대 3개월 간 추가로 지원하는 것으로서 약 900여 기업이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심화기술지원’은 자유공모방식을 통해 선정된 60여개 ‘소부장 기업-공공연구기관 컨소시엄’의 상용화 해결과제에 대해 과제당 5천만 원에서 2억 원을 지원하여 최대 1년간 수행하게 된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소부장 기업은 ‘융합혁신지원단 기업지원데스크’에 연중 상시 신청(단기기술애로) 및 공고기간 내 신청(심화기술애로)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이 출범 이후 지난 2년 동안 공공연구기관 간 협업 네트워크로서 자리 매김하고 소부장 공급망 안정 및 핵심 부품·소재 국산화, 소부장 실증기반 확충, 인력양성 등 소부장 경쟁력강화를 위해 큰 성과가 있었다”면서 “이번 기술지원사업은 전문가가 직접 현장을 찾아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공공연구기관과 기업의 협력을 한층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