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전경
부산시청 전경

[기계신문] 부산시는 22일(수)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팹리스산업협회,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와 ‘팹리스(Fabless)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이상복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장, 김경수 한국팹리스산업협회장, 김구용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부산 반도체산업의 취약점인 반도체 설계(팹리스) 역량을 강화해 설계-생산-인증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전 주기 생태계 완성을 목표로 마련됐다.

특히 비수도권 지자체 최초로 반도체 설계 전문 인력 집중 양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역 반도체산업 경쟁력 제고의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부산 팹리스 아카데미(BFA)’의 성공적인 운영이며, 2026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해 연간 100명의 팹리스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부산에 팹리스 클러스터 조성과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부산시는 팹리스 인력 양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담당하고,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육생 모집·선발·관리를,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는 기술 자문, 채용 연계, 기업 유치 협조 등의 역할을 맡는다.

‘부산 팹리스 아카데미(BFA)’는 내년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인력개발원에서 직접 교육 방식으로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관련 학과 재학생과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연 900시간(6개월 내외)에 걸친 실기 중심 반도체 설계 훈련이 이루어진다.

교육은 교육생이 실제 반도체 설계 과정을 직접 수행하고,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업 연계 프로젝트를 병행함으로써 기업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실무형 인재 양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산시는 이번 교육 프로그램이 산업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 교육의 비수도권 성공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향후 확장된 형태의 교육체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부산은 기장 전력반도체센터를 중심으로 생산·인증 기반 시설을 이미 구축했으나, 전국 99%가 수도권에 집중된 설계 기반은 취약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부산이 취약했던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강화해 반도체 전 주기 생태계를 완성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