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 서울투자자포럼 포스터
025 서울투자자포럼 포스터

[기계신문] 서울시는 9월 22일(월)부터 23일(화)까지 양일간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5 서울투자자포럼(Seoul Investors Forum, SIF)’을 개최, 글로벌 투자자와 서울 혁신기업을 직접 연결하는 맞춤형 투자유치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서울투자자포럼’은 서울시에서 주최하고 투자유치 전담기구인 인베스트서울이 주관하는 행사로, 서울 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2022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특히, 현재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으로 성장한 퓨리오사AI는 2023년 포럼에 참여해 미국 벤처캐피털로부터 20억 원을 투자받은 바 있다.

올해 행사에는 미국, 일본, 싱가포르, 유럽 등 세계 주요국에서 온 해외 투자자 80여 명과 서울 소재 혁신기술기업 100개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총 3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에는 1994년 홍콩에서 설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세컨더리 사모펀드(PE) 및 공동투자펀드 운용사 ‘렉싱턴 파트너스(Lexington Partners)’, 캐나다의 바이오·헬스 전문 벤처캐피털인 ‘테랄리스 캐피털(Teralys Capital)’ 등 글로벌 투자사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해 서울 기업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타진했다.

올해는 ‘Think Wide, Scale Worldwide!(넓게 사고하고, 세계로 도약하라!)’라는 슬로건 아래 ▲인공지능 혁신기술․제품 전시 ▲인공지능․바이오 등 기업 피칭IR ▲국내외 투자자 간 네트워킹 등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개막식에 앞서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데이빗 퍼거슨(David Fergusson) ‘와이즈키(WISeKey, 실스크 모회사)’ 부회장 겸 실스크 이사, 로익 아몬(Loic Hamon) 실스크 최고운영책임자(Chief Operating Officer, COO) 등이 참석한 가운데, 스위스 양자보안 반도체 기업인 실스크와 3천만 달러(420억 원) 규모의 서울 내 양자보안 R&D센터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2022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설립된 실스크는 양자보안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으로, 2023년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올해 두 차례 스페이스X 발사체를 통해 자사 반도체가 탑재된 양자보안 인공위성 발사에도 성공한 바 있다.

협약에 따라, 서울시는 스위스 양자보안 반도체 기업 실스크와 양자보안 R&D센터 설립에 합의하고, 사물인터넷(IoT), 금융, 의료, 항공, 위성통신 등 전략산업 분야의 첨단 기술협력과 생태계 조성에 본격 착수한다.

실스크는 서울에 설립될 R&D센터를 통해 양자내성(포스트 퀀텀) 반도체 칩의 개인화(personalization) 기술과 위성기반 양자보안 모듈 개발을 추진하며, 센터 설립을 위해 국내 기업과의 합작투자 방식으로 3천만 달러 이상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실스크와 협력해 양자보안 인프라 확충, 전문인력 양성, 기업 기술지원,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업에 힘쓸 계획이다.

이어 개막식에서는 오세훈 시장이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서울 혁신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용산·창동 개발부지 등을 소개하며 서울 세일즈맨으로 나서는 한편, 와이즈키 부회장인 데이빗 퍼거슨이 ‘미래의 투자 거점, 서울’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1부 행사에서는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인 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가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발표 기관인 영국 지옌(Z/Yen)그룹의 마이크 워들(Mike Wardle) CEO가 서울의 글로벌 금융 경쟁력을 분석했다. 이어 코레일은 ‘용산 서울코어’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용산서울코어 개발을 위해 프랑스 국제부동산박람회 ‘MIPIM(3월)’ 참가, 미국 투자유치설명회 ‘서울포워드(6월)’를 개최하는 등 글로벌 IR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중동 투자자 IR 세션이 신설돼 아부다비 인공지능․스마트시티 전문 투자사 TEG(The Entrepreneurs Group)와 지능형 교통 시스템 운영사인 ATS(Alliance Traffic Systems)가 참가했다. 이들은 서울의 인공지능․바이오․핀테크 기업을 발굴하고, 중동 진출을 후속 지원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혁신기술과 글로벌 투자 인프라를 두루 갖춘, 세계가 주목하는 전략 거점 도시”라며 “특히 투자자 여러분을 전담 지원할 ‘서울투자진흥재단’이 다음 달 출범을 앞두고 있는 만큼, 앞으로 재단을 통해 시장조사, 서울지사 설치, 규제 해소 등 성공적인 서울 진출의 전 과정을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