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A사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장치로 체온, 심박수, 심전도 등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값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안내해주고, 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의료기관에 정보를 알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특허를 받았다.
B사는 환자가 비대면 진료를 예약하고 예약된 진료 시간에 의료진과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 후, 처방된 약을 배송 받는, 인공지능 기반의 비대면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관련 특허를 받았다.
C 대학 연구팀은 천장 에어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환자의 건강을 체크 및 관리하고 원격 진단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건강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특허를 받았다.
올해 의료기기 수출규모가 전년 대비 7.4% 증가한 약 62억 5천만 달러(약 8조 6,5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분야 특허가 2015년 이후 10년 만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최근 10년간(2015~2024) 의료기기 분야의 특허출원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15년 9,336건에서 2024년 13,282건으로 10년 만에 약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기술 분야 특허출원이 약 12%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약 3.5배 높은 수치다.
최근 10년간 가장 많이 출원된 의료기기 유형은 생체계측기기(예 : 심박수, 혈압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가 탑재된 웨어러블 전자장치)로, 총 17,514건(14.6%)에 달했다.
이어서 수술치료기기(14.0%), 의료정보기기(13.7%), 의료용품(11.9%) 순으로 나타났다. 4개 분야가 전체 의료기기 특허출원의 절반 이상(54.2%)을 차지하였다.
출원증가율로 살펴보면, 가장 높은 분야는 의료정보기기로, 연평균 21.9%씩 증가했다. 특히 원격진료(예 : 인공지능 기반 비대면 진료시스템 등)와 관련된 의료정보기기 관련 특허출원이 92.6%를 차지해, 출원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정보기기 다음으로는 마취호흡기기(5.6%), 생체계측기기(5.5%) 등이 그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 31.7%(37,925건), 개인 19,7% (23,554건), 외국법인 19.6%(23,375건), 대학·연구기관 19.1%(22,806건) 순으로, 전체 출원의 51.4%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과 개인이 의료기기 분야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관은 삼성전자㈜였으며,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오스템임플란트㈜가 그 뒤를 이었다. 주요 기술유형별로는 생체계측기기와 재활보조기기 분야는 삼성전자㈜, 체외진단기기 및 의료정보기기는 연세대학교, 영상진단기기는 삼성메디슨㈜이, 치과기기는 오스템임플란트㈜, 치료보조기기는 ㈜바디프랜드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임영희 화학생명심사국장은 “최근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술 등 첨단기술을 의료기기에 접목하는 등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특허출원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특허청은 국내 의료기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허분석결과를 산업계와 긴밀히 공유하는 등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