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울산경제자유구역청(이하 울산경자청)은 산업통상자원부가 8월 4일 고시한 개정안을 통해 해상풍력 관련 산업분류 코드가 경제자유구역의 핵심전략산업에 추가됐다고 밝혔다.
핵심전략산업은 경제자유구역의 특성과 여건을 활용해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으로, 해당 산업 분야에 투자하는 기업은 조성원가 이하 분양, 임대료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지정은 울산 앞바다에 조성 중인 총 6.2GW 규모, 약 42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에 맞춰 추진됐다.
울산경자청은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에 따른 경제자유구역 확장 및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풍력발전업(35115)과 송전·배전업(35120)의 핵심전략산업 지정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지난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핵심전략산업 설명회, 지역혁신기관 자문회의, 선정위원회 개최, 해상풍력 민간투자사 및 관련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 노력해왔다.
특히 올해 4월 열린 추가 선정평가 2차 평가위원회에 참석해 부유식 해상풍력산업을 국가 전체의 에너지 대전환을 이끌고 산업생태계를 전환할 수 있는 핵심 미래 전략산업으로 제안하며 강한 의지를 표명한 결과, 이번 개정을 통해 관련 산업코드가 포함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1차 개정사항을 반영해 핵심 미래산업인 전기차 제조업(30122), 체외 진단 시약 제조업(21301), 수소 제조업(20121), 이차전지 제조업(28202, 20209) 등의 전략산업군을 추가로 명시해 재정비했다.
이번 핵심전략산업의 추가로 울산경제자유구역의 기존 3대 전략산업 분야(▲미래모빌리티 ▲미래화학신소재 ▲수소·저탄소에너지)는 산업분류코드가 기존 54개에서 60개로 확대돼 국가 에너지전환 정책에 부응하고 지역 산업구조 전환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경자청은 이를 계기로 향후 북항·남항 및 배후단지 일대 2.3㎢를 ‘그린에너지항만지구’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해당 지역을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 전 주기가 집적되는 거점이자, 그린수소·암모니아 생산부터 저장·운송·활용까지 아우르는 저탄소 에너지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 조성할 경우 민간투자 유치와 기반 조성의 가속화가 기대된다.
또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지역 전기요금 차등제가 가능해진 만큼, 부유식 해상풍력 기반의 대규모 전력 생산으로 지역 전력 자립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반도체, 이차전지 등 전력 다소비 산업 유치 경쟁력도 확보하게 된다.
이경식 울산경자청장은 “부유식 해상풍력은 단순한 발전사업이 아닌 울산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라며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에 부응하는 전략산업으로 기업과 기술이 모이는 중심 축이 되도록 기반을 강화하고 유치 활동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