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농촌진흥청은 양파 주산지를 중심으로 생산 전 과정 기계화 재배 모형을 보급해 농업인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기준 양파 재배 단계별 기계화율은 경운·정지 100%, 정식(모종 아주심기) 24.8%, 방제 99.8%, 수확 36.2%로 나타나 정식과 수확 작업의 기계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양파 생산에 드는 인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재배 기술 ▲전용 농기계 개발 ▲수확 후 건조 ▲저장 등 전 과정 기술을 포함한 기계화 재배 모형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재배 기술과 관련해서는 기계 정식(아주심기)에 적합한 육묘 생산 기술과 기계 수확에 최적화된 표준 재배양식(6조재배, 두둑 폭 120㎝, 포기 사이 12~15㎝)을 확립했다.
또한, 양파 줄기 절단기, 양파를 뽑아 두둑 가운데 모아주는 굴취·수확기, 수집기 등 농기계를 개발했다. 수확 후 품질 유지를 위한 예건(건조), 장기 저장 기술 등 모든 기술을 종합해 양파 주산지를 중심으로 보급 중이다.
양파 기계화 재배 모형 보급으로 10a당 노동력은 기존 45.2시간에서 8.2시간으로 82% 줄였고, 생산비용은 기존 89.9만 원에서 21.2만 원으로 76%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양파 생산 전 과정 기계화 재배 기술 확산과 현장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보급, 현장 교육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양파뿐 아니라 지금까지 노동력에 의존해 재배해왔던 감자, 고추, 마늘, 콩 등 주요 밭작물의 파종, 정식, 수확 기계를 서둘러 개발해 현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김지성 기술보급과장은 “필수 양념 채소인 양파·마늘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재배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계화 기술 보급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