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UNIST는 지난 10일 대학본부에서 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와 ‘AI 및 디지털 전환 기반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AI 기술을 실무에 적극 적용하고, 대학에 특화된 디지털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UNIST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은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 등 오피스 도구에서 생성형 AI를 경험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UNIST는 대학 특성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AI파운드리(Azure AI Foundry)를 연동, 국내 최초로 자체 AI 플랫폼을 개발한다.
애저 AI파운드리를 활용하면 GPT-4o, 라마(Llama), 미스트랄(Mistral) 등 다양한 최신 대규모 언어모델(LLM)에 접근할 수 있어, 대학 교육 환경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AI 체험 부스와 프롬프트톤(프롬프트 경진대회) 등 문화 확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AI를 적극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전환 전략이다.
또, AI 기술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UNIST 구성원들은 생성형 AI의 기본 원리와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교육 현장에 이를 적용해 실질적인 사용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배성철 UNIST 부총장은 “M365 코파일럿과 자체 AI 플랫폼을 UNIST 구성원들에게 제공해 맞춤형 챗봇, AI 비서 등으로 활용할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에 시범 오픈해 UNIST만의 독립적인 AI 기술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