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T,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자료 분석 보고서 발간

[기계신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산하 공동연구센터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4년 EU 산업R&D 투자 현황(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이하 EU 스코어보드) 자료를 분석·정리했다고 밝혔다.

EU 스코어보드는 글로벌 산업 트렌드 분석, EU 내 R&D 투자 상위 기업과 글로벌 경쟁사들 간 비교 분석을 통해 벤치마킹 요소를 확인하고 기업 혁신에 필요한 전략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R&D 투자를 집행하는 글로벌 상위 2,000개 기업(EU 기반 상위 800개사 포함)이다.

2023년 자료 기준 EU 스코어보드에 따르면, 세계 R&D 투자 상위 2,000개사의 투자 총액은 1조 2,574억 유로(약 1,892.3조원)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은 제약 및 바이오(360개사)였다. 이 분야 기업들의 R&D 총투자액은 2,317억 9,100만 유로(약 348.8조원)에 달한다.

AI 분야와 연관돼 있는 소프트웨어 업종은 275개사(13.8%)로 기업 수로는 제약 업종보다 적지만 투자액 기준으로는 2,413억 5,000만 유로(약 363.2조원)로 가장 많이 금액이 투자됐다. 글로벌 연구개발 투자액의 상당 부분(37.6%)이 제약과 바이오, AI 분야에 이뤄진 셈이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681개), 중국(524개), 일본(185개) 순이었으며, 국내 기업은 총 40개가 포함되어 8번째 순위를 기록했다. EU 스코어보드에 포함된 국내 기업들은 KIAT가 매년 발간하는 국내 1,000대 R&D 투자 현황에서도 260위 안에 포진돼 있다.

국내에서도 소프트웨어와 바이오 업종의 부상은 눈에 띈다. KIAT 조사 결과 1,000대 R&D 기업 중 소프트웨어와 바이오 업종의 투자 규모는 상위 5위(SW 2위, 바이오 5위)에 포함돼 있으며, 10년 전과 비교해 새롭게 진입한 기업 수(168개사)도 제조업(337개사) 다음으로 많아 산업구조의 변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1조원 이상 투자한 상위 9개 기업 대부분은 반도체, 자동차 기업으로 해당 기업의 R&D 투자액(44.5조원)이 1,000대 기업 전체 투자액의 61%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구조 전환을 준비하는 R&D 투자 다변화도 필요해 보인다.

민병주 KIAT 원장은 “글로벌 산업 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려면 바이오, AI 등 미래 유망 업종에 대한 전략적 R&D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며 “세계 상위권 R&D 투자 규모(3.4%, 8위)에 걸맞도록 R&D 성과에 대한 사후 사업화 지원을 체계적으로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