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이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종합적으로 연구개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 유치에 성공했다.
충남이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종합적으로 연구개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 유치에 성공했다.

[기계신문] 충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수행한 ‘지속가능항공유(SAF) 전주기 통합 생산 기술 개발·통합 실증 설비 구축(SAF종합실증센터) 지자체 선정’ 공모에 서산이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는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1만 633㎡의 부지에 건립될 예정으로, 총사업비는 건축비 110억 원, 장비 구축 350억 원, 연구개발비 2,650억 원 등 총 3,110억 원이다. 사업 추진 기간은 2027년부터 2031년까지 5년이다.

센터에서는 지속가능항공유(SAF) 실증·생산 통합 공정 구축, 원료 다양성 확보, 시험·평가, 품질 규격화, 국제 표준 개발, 생산·공급 기술 개발 등 원료 생산부터 인증까지 전주기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대산단지는 대한민국 3대 국가석유화학단지로,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LG화학, 롯데케미칼, 케이씨씨 등 대기업 5개사를 비롯, 80여 개 기업이 입주해있다.

또, 서산은 기회발전특구에 지정돼 있는 데다, 2028년 날개를 펴는 서산공항도 위치해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 최적지로 평가받았다.

충남도는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가 계획대로 건립돼 가동하면, 지속가능항공유(SAF) 국산화 및 시장 선점 등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산업 발전 견인,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대산단지 기업들의 신산업 추진을 통한 석유화학산업 위기 극복 뒷받침, 석유화학-바이오연료-항공산업 벨류체인 확보를 통한 투자유치 확대, 미래 먹거리 창출 등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은 연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목표로 서산시 등 관련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업해나갈 것”이라며 “예타를 넘어서면 내년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2027년에는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 건립을 위한 첫 삽을 뜰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지난해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메가 프로젝트 추진 공모를 통과, 서산에서 한화토탈에너지스가 석유화학 공정 내 이산화탄소를 직접 수소화해 지속가능항공유(SAF)와 친환경 납사 등을 제조하는 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보령에서는 LG화학이 주관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D현대오일뱅크가 참여해 한국중부발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생산하는 기술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두 사업 추진에 투입하는 비용은 총 3,500억 원이다.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은 발전 및 산업 공정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모아 메탄올이나 이차전지 소재,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유용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을 탄소중립 실현 핵심 수단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국제에너지기구도 2070년 전 세계 총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5% 수준을 이 기술이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