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제주도는 3일 한전KDN과 ‘2035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대전환 공동 대응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달 28일 한전과 맺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 및 에너지 신사업 개발’ 협약과 연계해 에너지 분야 디지털 전환을 강화하는 의미를 가진다.
제주도는 한전의 전력 인프라와 한전KDN의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조성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제주도와 한전KDN은 네 가지 핵심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한다. 먼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정보통신기술 기반 에너지 데이터 통합센터를 구축한다.
가상발전소(VPP), 에너지저장장치(ESS), 섹터커플링(P2X) 등 분산에너지 신사업을 위한 부문별 솔루션 개발과 보안체계도 마련한다.
전력계통의 정보통신기술 기반 디지털화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해 미래 에너지 시스템 신사업 모델 개발과 실증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서 에너지 데이터 통합센터를 구축해 제주형 가상발전소, 에너지저장장치, 섹터커플링 등 신사업 모델의 조기 정착을 지원하는 한편, 신사업 관련 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제주도는 현재 전국 최고 수준(19.2%, 2022년 기준)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보유한 만큼 출력제한과 계통 연계 등 기술적 과제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신산업활성화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과 지정을 추진 중이다. 정부도 지난 10월 제주 민생토론회에서 에너지 신사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특례 도입과 정책적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이번 한전KDN과의 협약은 한전의 전력계통 운영 노하우와 한전KDN의 정보통신기술 역량을 접목해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KDN 측은 “제주 에너지 대전환 정책 추진을 적극 뒷받침해 2035 탄소중립 실현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라며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사업모델이 조기에 정착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