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방산기술보호 컨퍼런스’ 포스터
‘2024 방산기술보호 컨퍼런스’ 포스터

[기계신문] 방위사업청은 방산기술보호를 위한 노력과 성과를 공유하고 관련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12일(금)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4 방산기술보호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24 방산기술보호 컨퍼런스’는 2014년 첫 개최해 올해 8회째 맞이하는 행사로, 국내외 방산 관련 정부기관, 연구소, 기업들이 한데 모여 세계 각국의 방산기술보호 관련 정책동향을 소개하고 방산기술보호제도의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조지 몰나르(György Molnár) 바세나르체제 사무총장, 마이클 R.레이칙(Michael R.Laychack) 미국 DTSA(Defense Technology Security Administration, 국방부의 국방기술보안청) 방산기술보호 본부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국제 안보환경의 변화와 각국의 정책 동향, 진화하는 기술보호제도, 모두가 함께 막는 기술유출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주제발표 세션이 이어졌다.

세션1 ‘국제 안보환경의 변화와 각국의 정책동향’에서는 미국 국방부에서 미국의 기술보호 및 수출 통제정책을 소개하고, 영국 산업부는 기술관리, 스페인 외교부는 무기 수출 및 이중용도 품목에 대한 EU 통제 규정 및 사례를 발표했다.

세션2 ‘진화하는 기술보호제도’에서는 방위사업청 기술보호과에서 한국 방위산업기술 보호 및 수출통제 정책을 소개하고, 국방기술품질원의 합목적 방산기술 보호 전문관리 방향,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 스틸리언의 사람의 취약성을 결합한 사이버 위협 사례 발표가 진행됐다.

세션3 ‘모두가 함께 막는 기술유출’에서는 고려대학교 김승주 교수가 SDD(Software-Defined Defence) 시대에서의 한국의 국방 사이버보안 정책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 경찰청 안보수사국은 기술유출범죄 실태 및 경찰의 대응노력, LIG넥스원은 방위산업기술보호의 효율적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강환석 방위사업청 차장은 “국제 안보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정책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K-방산 기술보호 대책 수립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이번 컨퍼런스는 각국 정부기관, 산업계, 학계 등 관련 기관이 함께 모여 방산기술보호에 대한 경험과 교훈을 공유하여 향후 방산기술보호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