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KAIST가 ‘삼성중공업-KAIST 산학협력 30주년 기념행사’를 10일(금)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 존해너홀에서 개최했다.
1995년 시작된 KAIST와 삼성중공업의 산학협력은 양 기관 모두에서 가장 오래 유지되고 있는 산학협력 협의체다. 30년간 국가 경제를 덮친 다양한 위기 속에서도 대학과 기업이 실질적인 협력을 장기간 공백 없이 유지해온 이례적인 사례로 꼽힌다.
박용화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산학협력위원장)는 “95년 당시 산업체는 기술과 인력이 부족했고 대학은 이론을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공학교육의 장이 필요했다”면서 “이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93년 대덕연구단지에 연구소를 설립한 삼성중공업과 조선해양기술을 연구하는 기계시스템 설계 분야 협의체를 창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기관의 협업은 조선업의 초창기 성장을 가속화하고,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IMF,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중국의 저가공세 등의 요인으로 조선업이 큰 침체에 빠졌던 시기에도 산학협력의 명맥은 끊기지 않았다. 이를 통해 확보한 우수한 기술력은 여러 위기를 버텨내고 수주량 회복에 저력으로 작용했다.
협력의 주축이 된 ‘자문 교수제도’에는 100여 명 이상의 교원이 참여해 740여 건의 기술자문이 진행됐으며, 370여 건의 조선 및 해양기술 연구과제가 수행됐다.
이밖에도 ▶기업의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 강좌 ▶산학협동 공개 강좌 ▶삼성중공업 직원들의 KAIST 기계공학과 정규 강좌 청강 ▶연구원 단기연수 ▶코업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인력 교류를 이어왔다.
이날 열린 행사에는 이광형 KAIST 총장 및 최성안 삼성중공업 대표이사를 비롯해 양 기관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 창설부터 현재까지 지난 성과를 돌아보고, 협력의 초석을 다진 KAIST 명예교수 및 삼성중공업 전 임원 8명이 공로패를 수여받았다.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학과장은 “한 세대를 넘어선 산학협력의 모범사례가 지속가능한 미래기술을 창출하고 혁신을 열어가는 새로운 30년의 역사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