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신문] 전북도는 17일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가 실시한 ‘무정전전원장치(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국가공모사업에 선정, 국비 20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대용량․고출력 UPS 표준모델 개발과 연계한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사고대응 실시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전북도가 완주군과 함께 한국전기안전공사(전기안전연구원)를 주관기관으로 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한다.
2027년까지 4개년에 걸쳐 총 300억 원(국 200·지방 40·민간 60)을 투자해 완주테크노밸리 제2일반산업단지 내에 센터를 구축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의 3개 세부과제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장비나 시스템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작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지난 2022년 경기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 중단 사태가 발생돼 사회적·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데이터센터의 UPS는 리튬계열 배터리로 대부분 건물 안에 있고 열폭주 등으로 화재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발생으로부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이 더욱 요구되는 상황에서 2022년부터 전북도가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정부과제로 기획해 2024년 신규 국가예산에 반영됐다.
전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1월 이 사업 추진기관을 선정하기 위한 사업공고를 발표하자, 발빠르게 응모한 뒤 4월 9일 평가를 거쳐 한국전기안전공사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전북도가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함께 정부과제로 기획해 국가사업에 반영된 만큼 공모사업 수행에 어려움이 없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하겠다”면서 “공모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ESS 안전성평가센터 등과 연계, 가장 안전한 에너지 강국의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