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국내 섬유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하는 ‘2024년도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참여기업을 2월 7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섬유산업은 제조업 중 철강, 석유화학, 광물, 시멘트에 이어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으로서, 특히 원단 제조 및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의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압축기, 염색기, 건조기, 텐터기(천의 폭을 팽팽하게 펴서 말리거나 다리면서 원단을 뽑아내는 기계) 등이 대표적으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설비이다.
최근 글로벌 섬유패션업체들은 높은 수준의 저탄소화 기준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 섬유기업들은 대부분 중소·영세업체들로서 이러한 대응에 취약한 상황이다. 참고로 섬유산업은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이 88.6%에 달한다.

이에 산업부는 섬유기업의 저탄소 설비 교체를 위해 최대 1억 원의 범위 내에서 중소·중견기업은 비용의 70%, 대기업은 50%까지 지원한다. 또한, 선정된 업체는 탄소감축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을 수 있고, 기업이 희망하는 경우 탄소감축 효과에 대한 확인서도 발급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또는 한국섬유수출입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권혁재 기자
hjk@mtnews.net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