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패스라웨 반도체 제조 공장에서 복수의 로봇과 드론이 자율주행을 하며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기계신문]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드론-로봇의 실시간 원격관제 기술을 이용한 자율순찰 기술을 산업현장에 적용, 실증 및 시연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KETI 자율지능IoT연구센터 성낙명 팀장의 주도로 개발된 드론-로봇 실시간 동시 관제 기술은 웹을 기반으로 인터넷만 연결된다면 PC, 노트북, 휴대폰 등 기기 종류에 상관 없이 어디서든 접속해 드론-로봇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연구진은 지난 11월 국내 2개 지역(충북 청안·경기 김포)에서 해당 기술의 실증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산업 보안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위험요인(외부인 불법침입·화재 발생)에 대한 관제 기능을 시험하였다.

* 청안 실증지 : ㈜네패스 라웨, 약 6만 평 규모의 반도체 패키지 공장

* 김포 실증지 : 한국서부발전㈜ 김포열병합발전소, 약 7만 평 규모의 발전소

KETI는 올해 3월 인공지능 추론에 활용되는 다수의 상용칩과 드론-로봇 통신을 위한 5G 모듈을 패키징하여 저전력의 한계 상황 속에서도 드론과 로봇이 요구하는 인공지능 기능을 구현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 반도체 제조 공장에서 드론 및 복수 로봇을 동시에 관제하고, 웹 관제 SW를 통해 화재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KETI는 이번 기술 개발 및 실증 시연을 통해 산업현장의 재난 및 인명사고를 사전에 관측하고, 현장 초동대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속하여 국내 재난현장의 골든타임을 빠르게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드론-로봇 순찰을 실시간으로 관제함으로써 기존 고정형 CCTV의 시·공간 제약 및 기계적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확한 재난 예측 및 대응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TI 고재진 융합시스템연구본부장은 “이번 기술 시연을 통해 드론-로봇 무인 순찰로도 산업 작업현장의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하였다”며 “향후 더욱 고도화된 산업현장 안전 서비스를 개발하여 국내 재난 대응 체계의 첨단화를 이끄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정보통신·방송 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 및 ㈜네패스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