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포스코그룹은 지난 11일(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일본 혼다와 ‘전기차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대응해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시장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수요는 2023년 약 1,357만 대에서 2025년 약 2,236만대, 2030년에는 약 5,900만 대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양사는 기존 철강 부문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도 양·음극재, 전고체전지용소재, 리사이클링 등 분야에서 새롭게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우선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 양사는 양·음극재 공급 등 협력을 검토하기로 했다. 전고체전지용 소재는 사업과 기술 분야에서 주기적인 교류회 등을 통해 공동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리사이클링 역시 향후 혼다의 전기차 비즈니스 및 포스코그룹의 글로벌 리사이클링 사업과 연계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철강 부문에서도 기존 자동차강판 공급 외에,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강판은 물론 전기차용 구동모터코아 및 모터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적용 확대를 논의하기로 했다.
포스코그룹과 혼다는 향후 분야별 실무단을 구성하여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사업 해외 확장을 위한 중장기 협력과 정기 교류회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양사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 문제가 현안으로 부상한 가운데, 포스코그룹의 리튬·니켈, 양·음극재, 리사이클링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 역량과 혼다의 중장기 글로벌 전기차 사업 확장 전략을 토대로 공동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혼다와 포스코그룹이 기존 철강 분야 파트너십을 이차전지소재 분야로 확대해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 Full Value Chain 전략과 혼다의 전기차 확장 전략에 상호간 윈윈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베 토시히로 혼다 사장은 “혼다가 취급하는 모든 제품군에 대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할 것”이라며 “이차전지소재, 리사이클링, 자동차강판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 전기차용 부품까지 폭넓은 영역에서 역량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포스코그룹과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