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에 반도체 관련 교육·연구·산업시설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산·학·연 10개 기관이 하나로 뭉쳤다. (왼쪽부터) 이서규 한국팹리스산업협회장, 강사윤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장, 조명우 인하대 총장, 유지범 성균관대 총장, 유정복 인천시장, 박종태 인천대 총장, 이응혁 한국공학대 교무처장, 김택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원장, 안영우 한국PCB&반도체패키징산업협회 사무국장, 이주호 인천테크노파크 원장

[기계신문] 인천광역시는 지난 9일 대학·연구기관·반도체 관련 협회 등 9개 기관과 함께 ‘인천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추진’ 공동 노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기관은 인천시를 포함해 성균관대학교, 인하대학교, 인천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테크노파크, 한국PCB&반도체패키징산업협회, 한국팹리스산업협회,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로 총 10개 기관이다.

정부의 반도체 특화단지 선정이 올해 상반기로 예정된 가운데, 인천시는 대학-연구지원기관-학·협회와 협력을 통한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추진으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에 기여해 국가 반도체산업 발전을 함께 이뤄나가겠다는 취지다.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10개 기관은 ▲반도체 패키징 연구개발 및 실무형 고급인재 양성과 산학 프로젝트 진행 협력 ▲반도체 패키징 실용화 연구개발(R&D) 및 관련 중소·중견기업 기술지원 ▲반도체 패키징산업의 테스트베드 기반 구축 및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 지원  ▲반도체 설계전문인력 양성 및 반도체 특화단지 내 팹리스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날 협약을 계기로 현재 진행 중인 반도체 특화단지 인천 유치를 위한 공동 대응 및 인재양성·연구개발·기술지원 등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 정부의 글로벌 첨단전략산업 클러스터 육성 정책에 맞춰 인천이 반도체 클러스터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경쟁력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은 대한민국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의 한 축을 담당할 핵심 지역으로서 가능성이 충분하다”면서 “특화단지 유치·조성을 통해 세계초일류 도시 인천의 반도체가 글로벌 최고가 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