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전라북도는 지난 27일 김관영 전북도지사,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장, 이장호 군산대학교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산 탄소섬유를 활용한 위성발사체용 구조체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 당사자인 각 기관들은 초고강도 국산 탄소섬유 등 소재 및 추진체 구조물의 공인인증체계 구축과 방위산업용 탄소섬유 수급 자립화에 적극 노력하고, 각 기관 상호간 인력 양성 및 교류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업기간은 오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총 5년으로 사업비 360억 원(국비 300억 원)을 투입해 우주발사체 핵심 소재·구조제 전문연구센터(10,000㎡)를 구축,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협업을 통해 관련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전문연구센터 구축이 완료되어 본격 가동되면 우주발사체용 추진체에 대한 시험·검정·평가가 가능해져 관련 분야 국내 유수기업들의 유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1년 5월 한·미 미사일 지침 완전 해제에 따라 민간기업과 군에서는 기존 액체연료뿐 아니라 고체연료 등 다양한 형태의 우주발사체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월 6일 ‘우주항공·방산 시대에 대응한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하면서, 국방·우주소재로 탄소섬유의 정책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전북도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탄소산업의 핵심 수요처인 국방·우주산업을 적극 발굴하고, 탄소복합재 핵심 기업을 도내 유치해 탄소 소재 개발, 완성품 제작과 인증까지 가능한 가치사슬을 완성시켜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새만금이라는 지역적 장점을 최대로 활용해 타 시·도에서 시도하지 않은 신기술·신소재 기반 국방우주 체계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이번 협약으로 국방·우주 발사체용 추진체에 국산 탄소섬유가 사용 가능해져 국가적으로 소재 자립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됐다”며 “새만금과 탄소산업이라는 전북도의 강점을 바탕으로 전북형 방산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협약은 불모지나 다름 없는 전북의 방산 분야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며 “국산 탄소섬유라는 신소재를 활용해 신시장을 개척하는 새로운 길인 만큼 모두가 단합해서 성과를 만들어내자”고 당부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