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연구원이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기계신문] 경기연구원은 저발전 경기북부지역을 발전시킬 신성장동력으로 수소산업을 도입해 중앙정부와 경기도가 중점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새 정부와 민선 8기 경기도정은 수십 년간 군사, 성장관리권역, 환경 등 중첩규제로 저발전지역인 경기북부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새 정부 인수위는 수도권 접경지역 규제 완화 공약으로 접경지역 규제개혁, 수자원 보호구역 규제개혁, 수도권 접경부성장촉진권역 신설 추진을 제시한 바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신설과 함께 지역경제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성장의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경기북부 시군 주요 거점별 수소생태계 구축 구상도

특히 민선 8기 공약에는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 조성안도 포함됐다. 경기도는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 기본계획을 2019년 수립해 안산-평택-화성권을 중심으로 수소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다. 남부의 안산, 평택은 국토교통부의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돼 구축 중이다.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 육성은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 조성 공약 이행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발전 도모 ▲안산-평택-화성권 경기남부 수소경제벨트와 경기북부 수소산업 양대 축 개발 ▲수려한 자연환경자원과 친환경 수소산업 연계 접목으로 친환경 녹색산업지역 선도 ▲수도권 탄소중립 달성 기여 ▲수소에너지 시장 확대로 수소산업 발전 기회 활용 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 경기북부 ‘수소테크노밸리(HTV)’ 조성 구상도

경기북부지역의 수소산업 육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경기북부 관내 시·군 주요 거점별(양주-의정부-동두천권/파주권/연천-포천권) 개발 내지 조성 중인 산업단지나 미활용군용지, 반환공여구역 부지에 수소생산-유통-활용 수소생태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그 후보지들로는 양주시 도하리 미활용군용지(41천㎡), 동두천시 동두천국가산업단지(26만 7천㎡), 파주시 파평일반산업단지(59만 3천㎡),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장탄리·백의리 일대 미활용군용지(92만 7천㎡), 포천시 에코그린일반산업단지(30만 9천㎡), 파주시 장단면 거곡리 일대 파주평화경제특구내(구상)(330만㎡) 등을 지목했다.

▲ 경기북부 ‘수소테크노밸리(HTV)’ 조성 구상도

이어 경기북부 관내 양주시 도하리 미활용군용지(4만 1천㎡), 포천시 에코그린일반산업단지(30만 9천㎡), 파주시 파평일반산업단지(59만 3천㎡),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 일대 미활용군용지(92만 7천㎡) 등의 후보지 중에서 최적지를 선정해 수소집적단지, 일명 수소테크노밸리(HTV: Hydrogen Techno Valley)를 조성하자고 밝혔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경기남부 안산-평택-화성 수소경제벨트와 경기북부권을 수소산업 육성 양대 축으로 구축해야 한다”면서 “무엇보다 저발전 경기북부지역을 위한 미래 새로운 성장잠재력 발굴에 수소산업만큼 뛰어난 부문은 없으므로 경기북부지역 수소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