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경기연구원이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원은 경기남부에 산업단지가 집중됐으며, 북부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산업단지 조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교통 인프라와 기타 산업입지 조건에 따라 산업단지가 조성됐으나 경기 북부와 남부의 경제 격차가 커지는 시점에서 산업단지의 북부와 남부의 격차는 현재뿐만 아니라 향후 경기남북 간 경제 격차 차이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구원은 경기도 일반산업단지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상위그룹에 포함된 경기북부 산업단지의 비중은 23%에 불과했으며, 77%가 중·하위 그룹에 포함됐으며, 평균 운영 기간도 북부가 남부지역보다 긴 경향을 보여 경기북부지역에 노후산단의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지난 5년간 생산성 변화도 경기북부 산단의 경우 32.1%가 효율성이 증가했으며, 67.9%가 정체 및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남부지역 산단은 49.2%가 효율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체 및 감소하는 산단은 50.8%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렇듯 경기북부지역의 핵심 산업시설인 산업단지의 생산성과 효율성 모두 남부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에 대한 방안으로 경기북부지역은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밸리와 더불어 추가적인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경기북부 노후산단의 고도화와 스마트화를 제안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 경제가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첨단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구조로 변화하면서 경기도 산업단지 또한 이러한 흐름에 대처해야 하는 과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특히 경기북부지역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일부 산업단지는 구조 고도화와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산업단지 혁신과 신규 산업단지 개발지원 예산을 지속 확대해야 하며 테크노밸리와 같은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현재 경기북부지역은 제조업 혁신과 신산업 유치, 시군단위별 지역특성에 적합한 전략산업 육성 등 실행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