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신문] 최근 탄소 중심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수소차 및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로 자동차산업 구조가 급변하면서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업계는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
BNK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래차로 산업구조가 재편될 경우 자동차부품 수는 37%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중견 자동차업체의 약 59%가 미래차 전환 대비책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산업교육연구소가 오는 8월 20일(금) ‘미래차 전환 대응전략 - 전기차·수소차 전장부품 지원 및 사업모델 세미나’를 온라인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 자동차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사업 안내를 시작으로, 전기차 구동모터, 인버터, 컨버터, 커패시터 및 파워트레인을 비롯해 수소차 연료전지시스텍, 복합소재용기, 충전소용기 및 수소센서뿐만 아니라 미래차 전장부품, 시스템사업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및 부품업계의 위기직면 대응전략에 이르기까지 전기차·수소차 전장부품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세미나 주제는 ▲국내 자동차부품기업의 미래차(전기차·수소차) 전환 지원사업 안내 ▲전기차 구동모터, 인버터 및 컨버터 연구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과 주요이슈 ▲전기차에 적용되는 커패시터 연구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과 주요이슈 ▲미래차(전기차·수소차)의 동력전달 시스템(파워트레인) 연구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과 주요이슈 ▲미래차 전장부품/시스템사업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및 국내 자동차부품업계의 위기직면 대응전략 ▲수소차 연료전지시스템(연료전지스택) 연구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과 주요이슈 ▲수소차 연료탱크시스템 복합소재용기/충전소용기 연구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과 주요이슈 ▲수소차 수소센서 연구기술개발과 사업화 방향 등이며, 오전 9시 50분에 시작하여 오후 5시 10분까지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미래차로의 재편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어 더 늦기 전에 미래차의 전장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전기차·수소차와 전장부품의 고기능화를 위한 이해와 함께 미래 발전전략 및 신성장,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산업교육연구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