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윤국진 교수, KAIST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이기철

[기계신문]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윤국진 교수와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초저전력, 상온 동작이 가능한 광원 일체형 마이크로 LED 가스센서 기반의 전자 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공동 연구팀은 마이크로 크기의 초소형 LED가 집적된 광원 일체형 가스센서를 제작한 이후, 합성곱 신경망(CNN) 알고리즘을 적용해 5가지 미지의 가스를 실시간으로 가스 종류 판별 정확도 99.3%, 농도 값 예측 오차 13.8%의 높은 정확도로 선택적 판별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마이크로 LED를 활용한 광활성 방식의 가스 감지 기술은 기존의 마이크로 히터 방식 대비 소모 전력을 100분의 1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절감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개발된 초저전력 전자 코 기술은 어떠한 장소에서든지 배터리 구동 기반으로 장시간 동작할 수 있는 모바일 가스센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마이크로 LED 가스센서와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발한 초저전력 전자코 시스템의 모습. (a) 광원일체형 마이크로 LED 가스센서 모식도와 가스 감지 메커니즘. (b) 마이크로 LED 어레이와 합성곱신경망 기반의 전자코 시스템의 모습. (c) 전자코 시스템의 실시간 가스종 판별 정확도, 농도 예측 오차. 기존의 고온 줄히팅 방식 대비 전체 소모전력이 100분의 1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절감됨

타깃 가스의 유무에 따라 금속산화물 가스 감지 소재의 전기전도성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높은 민감도, 빠른 응답속도, 대량 생산 가능성 등 많은 장점이 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금속산화물 감지 소재가 높은 민감도와 빠른 응답속도를 보이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에너지 공급을 통한 활성화가 필요한데, 기존에는 집적된 히터를 이용한 줄 히팅 방식이 많이 사용됐다. 고온 가열 방식의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높은 소모전력과 낮은 선택성 등의 한계점이 있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자외선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마이크로 크기의 LED를 제작한 후 바로 위에 산화인듐(In2O3) 금속산화물을 집적함으로써 광활성 방식의 가스센서를 개발했다. 광원과 감지 소재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한 광원 일체형 센서 구조는 광 손실을 줄임으로써 ㎼ 수준의 초저전력 가스 감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팀은 광 활성식 가스센서의 반응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금속산화물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를 코팅해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sance, LSPR) 현상을 활용했고, 이를 통해 센서의 응답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 LSPR : 국소표면 플라즈몬 공명에 의해 생성된 핫 전자들이 금속산화물로 이동(Hot electron transfer)해 타깃 가스와의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하는 원리

▲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전자 코 시스템은 총 소모전력 0.38 mW의 초저전력으로 5가지 가스(일반 공기, 이산화질소, 에탄올, 아세톤, 메탄올)를 실시간으로 선택적 판별이 가능했다.

그 후 연구팀은 앞서 설명한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낮은 선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LED 가스센서에 서로 다른 감지 소재를 집적해 센서 어레이를 제작하고, 합성곱 신경망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타깃 가스가 만들어내는 고유한 금속산화물의 응답 패턴(저항 변화)을 포착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개발된 전자 코 시스템은 총 소모전력 0.38 mW의 초저전력으로 5가지 가스(일반 공기, 이산화질소, 에탄올, 아세톤, 메탄올)를 실시간으로 선택적 판별이 가능했다.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는 “마이크로 LED 기반의 광 활성식 가스센서는 상온 동작이 가능하고 고온 가열 줄히팅을 하는 기존의 반도체식 가스센서에 비해 소모전력이 100분의 1 수준으로 초저전력 구동이 가능해 대기오염 모니터링, 음식물 부패 관리 모니터링,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응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ACS Nano'에 2023년 1월 10일자 정식 게재됐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