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협회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재의 수입선 다변화와 기술 초격차 여부가 對중국 무역적자 개선의 열쇠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은 포스코 아르헨티나 리튬공장 전경

[기계신문] 최근 對중국 무역수지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3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중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對중국 10대 흑자·적자 품목 대부분에서 무역수지가 악화되었으며, HS기준 적자품목수 비중도 소폭 상승했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9일 발표한 ‘최근 對중국 무역수지 적자 진단’ 보고서를 통해 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이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수입이 단기간에 폭등하고, 중국의 수입 수요 약화로 對중국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구조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국내에서도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중국 수입의존도가 83.2%에 달해 수입선 다변화 및 대체 생산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 對중국 무역수지 추이(월별) (단위 : 억 달러)

그러나 중국·호주·칠레 등 3개국이 전 세계 리튬 생산의 86%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포스코가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연간 2만 5천 톤 규모(전기차 60만 대분)의 아르헨티나 리튬공장 투자를 진행 중이긴 하나, 실제 물량 확보까지는 다소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단기간에 수입선 다변화를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둔화에 따른 중국의 수입 감소도 무역수지 악화 원인으로 꼽았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여파로 올해 중국의 2분기 수입증가율은 2.4% 수준으로 급락했으며, 대만·한국·일본·미국 등 중국의 4대 주요국 수입은 2분기를 기점으로 모두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수입 둔화와 더불어 상반기 對중국 수출부진 원인은 품목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의 경우, 중국의 장비 자급률이 지난해 21%에서 올 상반기 32%로 대폭 상승하면서 상반기 반도체장비 수출은 51.9% 감소했다.

▲ 對중국 무역흑자‧무역적자 주요 품목(2022.上) (단위 : 억 달러) * MTI 3단위 기준. 증감은 2021.上→2022.上 변동액

또한 올해 7월까지 중국에서의 한국 브랜드 신차 판매량이 37% 이상 감소하고, 상반기 중국 현지공장 생산량도 42% 이상 줄어들면서 자동차부품 수출도 23.5% 줄어들었다.

LCD(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국내 주요 기업들이 LCD 사업을 축소하며 국내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었고, 부족한 국내 LCD 수요가 중국 및 대만 수입산으로 대체되면서 수지가 악화됐다.

석유제품의 경우 중국이 탄소절감을 이유로 작년 하반기부터 현지 수입소비세를 부과하면서 수출여건이 악화되었으며, 다국적 기업들의 정유공장 철수로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호주 등으로 국내 기업들이 수출선을 다변화하면서 상반기 對중국 수출이 47.8% 감소했다.

소비재 중에서도 그동안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해왔던 화장품 역시 중국의 2030세대를 중심으로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이 확산되면서 상반기에만 수출이 20% 이상 줄어들었다.

▲ 對중국 무역수지 악화 요인 및 시사점(요약) (단위 : 전년 동기 대비 %, 전기 대비 %) *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나머지는 전년 동기 대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홍지상 연구위원은 “對중국 무역수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수출 신산업과 관련된 핵심 소재에 대해 안정적인 수입 공급망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면서 “기술집약 산업에서 중국과의 기술격차를 유지해 수출경쟁력 기반을 확보하고, 기업 차원에서도 중국 현지 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수출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