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목) 천안 충남테크노파크에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건립 착공 및 안전 기원식이 개최됐다.

[기계신문] 충남도가 2018년 10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구축에 돌입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의 하드웨어 격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건립 사업이 마침내 첫 삽을 떴다. 24일(목) 천안 충남테크노파크에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건립 착공 및 안전 기원식이 개최됐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박완주 국회의원, 산업통상자원부 최우석 국장, 박상돈 천안시장, 정양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이기승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윤수영 LG디스플레이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경과 보고 및 사업 설명, 발파식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은 LCD 시장을 중국이 압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을 차세대 핵심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재편, 디스플레이 산업 세계 1위를 유지하기 위해 구축을 추진 중이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건립과 R&D로 나뉘는 이 사업은 2025년까지 7년 동안 총 5,28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사업 목표는 ▶디스플레이산업 혁신 인프라 및 생태계 구축 ▶융복합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차세대 기술을 통한 초격차 확보 ▶혁신소재·공정을 통한 초저원가 실현 등이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천안에 위치한 충남테크노파크 내에 구축, 1만 3,320 ㎡의 부지에 4층 규모 기업 지원동과 2층 규모 클린룸동 등 2개 건축물을 내년 말까지 완공한다.

▲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1만 3,320 ㎡의 부지에 4층 규모 기업 지원동과 2층 규모 클린룸동 등 2개 건축물을 내년 말까지 완공한다.

클린룸동은 혁신공정센터의 핵심 공간으로 ▶디스플레이 TFT 공정 장비 ▶디스플레이 OLED 장비 ▶검사 장비 ▶분석평가 장비 등 62종의 2세대급 패널 생산 라인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혁신공정센터는 ▶OLED 디스플레이 신기술 발굴 ▶기업 연구개발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국산호 지원 등 디스플레이산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R&D 분야에는 3,683억 원을 투입해 66개 연구과제를 추진, ▶초저원가 확보를 위한 공정방식 혁신 ▶혁신소재 및 공정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개발한다.

충남도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이 정상 가동하면, 정책적으로 ▶경쟁국 대비 디스플레이 생산 격차 5년 ▶기술 격차 3년 이상 확보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상용화 기반을 확보하고, 도내 248개 디스플레이 기업을 비롯한 국내 1060여개 기업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특허출원·등록을 통한 지적재산권 확보, 고용 7,567명, 생산 1조 547억 원, 부가가치 4,066억 원 등의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이번 혁신공정센터는 충남이 디스플레이 메카로 재도약하는 구심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디지털 대전환과 산업 생태계 격변 속에서 디스플레이야말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나갈 핵심 분야”라며 “디스플레이 강국 대한민국이 이 미래를 주도해야 하고, 그 혁신을 충남이 앞장서 이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충남은 전략적 투자와 아낌없는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선진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 왔으며,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 각국의 경쟁 속에서 디스플레이 시장을 더욱 확실히 선점하기 위한 학습과 연구의 결과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구축이라는 새 모델을 고안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혁신공정센터는 충남이 디스플레이 메카로 재도약하는 구심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산·학·연, 민관의 협력을 통해 신기술을 발굴하고, 기업 연구 개발과 디스플레이 소부장 국산화를 지원하는 한편,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마련을 통해 시장 변화를 주도하는 허브 기관으로 자리 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충남 디스플레이산업 매출액은 2020년 기준 245억 달러로, 국내의 54%, 세계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