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리·변형·재단 가능한 마이크로 LED 개발… 유연 반도체 제조 기술 제시
- [기계신문] 전자소자 및 광소자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웨어러블 및 헬스케어 응용의 수요에 따라 형태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
- 2020-06-04
-
- 금 나노클러스터 태양전지 효율 향상 실마리 찾았다
- [기계신문] 금빛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비법재료가 밝혀졌다. 한양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 방진호 교수 연구팀이 전극제조 과정에 쓰이는 소금 속 나트륨 이...
- 2020-05-07
-
- 폴리이미드·그래핀 일체형 유연 투명 전극 개발… 고성능 웨어러블 전자기기 적용 기대
- [기계신문]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s)는 가볍고, 잘 구부러지고,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어 차세대 전자소자의 전원 공급 장치로의 잠재력을 가진다. 하지만 ...
- 2020-04-19
-
- 입고 접고 세탁도 가능한 근적외선 시각화 광필름 개발… 폴더블·웨어러블 기기 응용 가능
- [기계신문] 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다가오면서 근적외선를 이용한 광학기기, 소재에 대한 수요와 관심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근적외선은 가시광선과 달리, ...
- 2020-03-24
-
- 편광이나 외부환경 변화에만 보이는 초박막 편광 컬러 디스플레이 개발
- [기계신문] 감각적이고 간결한 와인라벨. 와이너리의 역사 등을 라벨에 담고 싶지만, 그 자체가 디자인인 와인병의 특성상 쉽지 않다. QR코드에 정보를 담을 수...
- 2020-02-18
-
- 빛의 색 바꿔주는 나노실린더 구조 적용 광소자 개발… 양자암호통신 응용 기대
- [기계신문] 빛과 비선형 물질이 만나면 일반적으로 관측되지 않는 신기한 현상들이 발생한다. 특히 비선형 물질에 입사한 빛은 다양한 색깔의 빛으로 변환될 ...
- 2020-01-26
-
- UNIST 최경진 교수팀, 실리콘 마이크로와이어 복합체 기반 ‘투명 태양전지’ 개발
- [기계신문] 햇빛은 물질과 만나면 흡수되거나 투과되거나 또는 반사된다. 태양전지의 경우는 태양광이 광활성층에 흡수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반면 우리 눈...
- 2019-12-26
-
- KAIST 조용훈 교수팀, 빛의 색깔과 편광 동시 제어하는 양자선 광원 개발
- [기계신문] KAIST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배 가느다란 육각연필 형태의 구조 안에서 다색-다편광 특성을 갖는 양자선 수직배열 광...
- 2019-12-25
-
- 전력연구원, 세계 최고 광전변환효율 평판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 [기계신문] 한전 전력연구원이 지금까지 발표된 평판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 20.1%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인 20.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에 성공했...
- 2019-10-21
-
- 전자부품연구원, 라이다융합산업 상용화 기술지원 성공사례 공유
- [기계신문]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8일(화) 서울 코엑스에서 라이다 국산화 및 국내 산업육성을 위한 ‘라이다융합산업 협의체’ 발족 1주년 성과교류회를 개...
- 2019-10-09
-
- 양자 정보기술의 핵심 ‘반도체 양자 광원’ 위치·파장 동시 제어 성공!
- [기계신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김제형 교수 연구팀이 원자 한 개 수준의 두께를 갖는 아주 얇은 ‘이차원 반도체 물질’과 부분적으로 힘(strain)...
- 2019-10-03
-
- UNIST 박경덕 교수팀, ‘플렉시톤’ 에너지 제어하는 나노 현미경 개발
- [기계신문] LED나 태양전지와 같은 반도체 소자는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개발된다. 여기에는 물체 표면에 머무는 ...
- 2019-07-13
-
- 디스플레이 발광 효율 높인다… 신개념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지침 제시
- [기계신문] 원편광 현상은 발광의 진동축이 진행방향의 수직면을 따라 회전하는 현상으로, 통상의 빛에 비해 좌편광 및 우편광의 편광방향성이라는 인자가 더...
- 2019-06-25
-
- 이제 안경 없이 3D 즐긴다~ 오버다임, ‘무안경 3D LED 디스플레이’ 시연회 개최
- [기계신문] 3D 디스플레이 전문기업 오버다임이 코레일과 함께 세계 최대 규모인 ‘254인치 무안경 3D LED 디스플레이’ 시연 행사를 오는 19일 KTX 서울역사 맞이...
- 2019-06-14
-
- UNIST 고현협·백충기 교수팀, 색상 변화로 촉각 전달하는 인공전자피부 개발
- [기계신문] 인공전자피부(electronic skin)는 사람 피부처럼 외부에서 입력되는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자극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소자...
- 2019-06-10
-
- 왕정홍 방위사업청장, 충북 청주 그린광학에서 방산수출 지원방안 논의
- [기계신문] 방위사업청은 5월 31일(금)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그린광학에서 24차 다파고를 실시했다.‘다파고’는 방산수출 원스톱 지원을 위해 청장을 비롯한 ...
- 2019-05-31
-
- 반도체 칩 크기 한계 극복한 세계 최대 광스위치 소자 개발
- [기계신문]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석태준 교수와 미국 UC Berkeley의 Ming C. Wu 교수 공동연구팀이 광섬유를 통한 빛의 정보교환을 기존보...
- 2019-04-26
-
- KIST 임정아 박사팀, 1000회 구부리고 세탁해도 성능 유지하는 섬유형 트랜지스터 개발
- [기계신문] 최근 웨어러블 전자소자가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으면서 옷과 같은 섬유에 전자소자의 기능이 결합된 전자섬유(electronic textile)에 대한 연구...
- 2019-04-23
-
- 부산대 문한섭 교수팀, 양자정보 구현 가능성 높였다… 고효율 양자얽힘 광원 개발
- [기계신문] 한국연구재단은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문한섭 교수 연구팀이 원자 매질을 이용하여 높은 안정성과 고품질의 양자얽힘 광원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
- 2019-04-17
-
- 전자통신연구원, QLED소자 양자점 표면치환기술로 전자-정공 불균형 풀었다
- [기계신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QLED정공 주입 개선 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점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체를 바꾸어 QLED의 밝기, 전류 및 전력 효율을 ...
- 20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