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윗줄 왼쪽부터) 박인규 교수, 박재호 박사, 정용록 박사과정(KAIST), 차동익 교수, 임효근 교수(삼성서울병원)

[기계신문]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연구팀이 삼성서울병원 임효근 박사 연구팀, ㈜알에프메디컬 이진우 박사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암 소작 시술 시 실시간으로 고주파 소작 중인 조직의 온도와 압력 측정이 가능한 소작용 바늘을 개발, 기술의 유효성을 전임상·임상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고주파 소작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은 암 조직에 도체 바늘을 삽입한 뒤 전기 소작을 통해 암 조직을 고온 가열해 제거하는 최소침습적 방법으로, 시술 과정이 편리하고 효과적일 뿐 아니라 환자에게도 부담이 적어 암 치료 시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작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체액이 기화되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스팀 팝(steam pop)이라는 소작 중 소규모 폭발 현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폭발 현상은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약 암조직의 소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면 암의 전이까지 유발될 가능성이 있어 매우 위험하다.

박인규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RFA용 바늘에 집적 가능한 얇은 필름 형태의 생체적합성 온도·압력 센서를 개발해 소작 부위의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RFA용 센서 집적 바늘(sRFA-needle)을 구현했다.

전임상·임상 실험을 통해 신뢰성 있게 스팀 팝을 감지할 수 있으며, 조직 내부의 온도, 압력 그리고 전기전도성 변화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스팀 팝이 어떠한 식으로 이뤄지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압력 센서는 피라미드 형태로 초미세 3차원 형태화된 전도성 나노 복합재 필름과의 기판 전극 사이의 접촉 저항 변화로 압력을 측정하며, 연구팀은 온도에 따른 금속 저항 변화를 통해 온도를 측정했다. 또한 개발된 센서가 체내 고주파 소작술 중 발생 가능한 고온·고압 조건에 높은 신뢰성을 갖는다는 것을 검증했다.

▲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압력‧온도 센서 내장 고주파소작 바늘(sRFA-needle)의 (a) 구조, (b) 원리, (c) 제작 결과, 내장된 (d) 압력 센서, (e) 온도 센서의 신호 측정 결과 및 (f) 각 센서의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환경에서의 안정성 확인 결과

제작된 집적 바늘의 전임상·임상 실험 수행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작 과정이 모사됐는데, 그 결과 RFA용 바늘의 전도성 영역 양 끝단에서 가장 활발하게 소작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됐으며, 이를 통해 스팀 팝은 소작이 진행되는 앞부분과 뒷부분의 각 소작 영역이 합쳐지며 급격한 소작 영역의 팽창에서 나타나는 결과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연구팀은 기존 고주파 소작술에서 사용되던 임피던스 측정만으로는 모니터링할 수 없던 스팀 팝을 온도·압력 측정을 통해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세부적인 스팀 팝 메커니즘이 시뮬레이션과 비슷하게 구현되는 것을 센서를 통한 소작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했다.

▲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스팀 팝 발생 과정의 (a) 개략도와 (b) 시뮬레이션 결과

또한, 이를 통해 고주파 소작술의 안정성 및 수술 유효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아울러 실제 암 환자들의 고주파 소작술 모니터링에 임상 적용돼 의학적으로 유용성을 입증했으며,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하고 ㈜알에프메디컬을 통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KAIST 박인규 교수는 “암, 하지정맥류 등의 질병에 최소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주파 소작술에서 조직 내의 온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며 “이를 통해 고주파 소작술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스팀 팝과 동시에 발생하는 소작 공간의 팽창에서 기인하는 내부 온도‧압력의 급작스러운 변화를 통해 스팀 팝의 발생이 실시간으로 감지되었다. 즉, sRFA-needle이 실제 임상 활용이 가능하며, 시술 과정에서 추가적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술의 신뢰성 및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번 연구는 공동 제1 저자 KAIST 기계공학과 박재호 박사, KAIST 기계공학과 정용록 박사과정 학생 및 삼성서울병원 차동익 교수 주도하에 진행됐으며, 삼성서울병원 임효근 교수와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ERC, 초정밀 광기계기술 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및 융합연구 분야 최상위 학술지 중 하나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2021년 8월 6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으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논문(frontispiece) 으로 선정됐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