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
UNIST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팀, ‘지능형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 개발
[기계신문]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제조산업은 센서, 반도체, 인공지능(AI) 및 사물 인터넷(IoT)이 결합되어 기존 제조 공정만으로는 불가능했던 기술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심층 신경망 및 합성곱 신경망을 포함한 다양한 인공신경망 기술의 발전으로 AI는 인간이 하기 번거롭거나 어려운 다양한 작업을 가능케 했다.그러나 기계 시스템...
2022-05-28 한음표
-
차세대 반도체 나노구조 공정 혁신 ‘3차원 노광 공정’ 개발
[기계신문] 나노 패터닝 기술의 발달로 기존에는 없던 고체 소재의 구조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이전의 물성을 능가하거나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특성이 구현되고 있다. 3차원 나노구조는 특히 나노크기에서만 발현되는 소재의 물성과 구조의 특이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재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그 수...
2022-05-27 권혁재
-
KAIST, 기계적·화학적 불안정성 극복 ‘액체금속 프린팅 기술’ 개발
[기계신문] 액체금속은 금속에 버금가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액체상태에서 파생되는 뛰어난 변형성을 함께 갖기 떄문에 유연 전자소자의 유망 소재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액체금속의 기계적, 화학적 불안정성과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다양한 적용 가능성이 제한되었다.최근 KAIST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
2022-05-25 권혁재
-
UNIST 김효일 교수팀, 하이퍼루프 내 무선통신 전파 분석기법 개발
[기계신문] 하이퍼루프 통신은 튜브 내부를 초고속으로 운항하는 객차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운행 상태에 대한 센서 정보, 포드 운항 제어 정보, 긴급 상황 정보 등을 주고받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기술이다.최근 UNIST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통신 전파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고속으로 달리는 객차의 안...
2022-05-18 한음표
-
KERI-DGIST, 배터리 화재 예측 기술 개발… 전기차·ESS 안전성 향상 기대
[기계신문]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용민 교수가 공동 연구를 통해 리튬이차전지 열 관리 기반 화재 예측 기술을 개발했다.리튬이차전지는 스마트폰, 전기차, 전력저장장치(ESS)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다양한 산업에 쓰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아파트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 ...
2022-05-10 권혁재
-
KIST, 불소 도핑 산화주석 촉매 적용 이산화탄소→개미산 전환기술 개발
[기계신문] ‘2050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국가 발전전략의 흐름에 맞추어 ‘그린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전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그린수소의 생산과 이산화탄소 전환 반응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액상 전환물 생산 기술이다. 그린 수소 생산과 이산화탄소 전환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핵심 요소 기술인 액...
2022-05-04 한음표
-
소리 듣는 인공피부로 로봇 조종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기계신문] 기계-사람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 HMI)의 개발은 사람과 기계를 이어주는 데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 현재 존재하는 웨어러블 HMI 기기들의 경우 낮은 주파수의 터치 혹은 손동작을 이용하여 기계에 간단한 신호들을 전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최근에는 로보틱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리고 사물인터넷(IoT)이 발...
2022-04-29 한음표
-
GIST, 시스템반도체 설계 오차 낮추는 트랜지스터 컴팩트 모델 개발
[기계신문]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홍성민 교수 연구팀이 국내 반도체산업의 미래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회로 설계에 필수적인 트랜지스터 컴팩트 모델의 최대 오차를 6% 이하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이번 연구 성과로 컴팩트 모델의 정확성이 향상되면 회로 설계 시, 컴팩트 모델의 한계에 따...
2022-04-25 권혁재
-
‘석유화학산업의 쌀’ 에틸렌,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기계신문]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는 산업화의 부산물로 그 배출량과 대기 중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넘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양을 저감할 수 있는 탄소 저감 기술이 필수적이다.전기화학...
2022-04-24 한음표
-
KAIST 최경철 교수팀, 풀컬러 디스플레이 필수요소 ‘흰색 OLED 전자섬유’ 구현
[기계신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팀이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 위에 흰색의 빛을 발산하는 섬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개발에 성공했다.전자섬유는 기술을 입는다는 개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궁극적인 폼팩터(form-factor, 제품의 물리적 외형을 뜻하는 말)로서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나 전자섬유 디스...
2022-04-20 권혁재
메뉴 닫기